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 서두수 / 西頭水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길주군 양사면과 함경남도 혜산군 봉두면에 걸쳐있는 남설령(南雪嶺, 2,150m)에서 발원하여 북류하다 두만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길이 175㎞. 일명 서두물이라고 한다. 심한 곡류천이며 하곡이 깊어 협곡을 이룬다. 유역은 마천령 산맥과 함경산맥 사이에 있는 높

  • 서백년산 / 西百年山 [지리/자연지리]

    황해도 곡산군 봉명면과 평안남도 성천군 대곡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217m. 동북쪽에서 서남쪽으로 뻗고 있는 언진산맥의 주봉이다. 이 산지의 동쪽 사면과 서쪽 사면에는 대동강의 지류인 남강(南江)의 상류 물줄기가 사면을 개석하고 있으며, 이 개석된 계곡을 따라

  • 서울 부암동 백석동천 / ─付巖洞白石洞天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종로구 부암동에 있는 명승. 서울 부암동 백석동천은 북악산 북사면의 백사실계곡에 위치한 조선시대 별서이다. 1800년대 도성 가까이에 조성되었던 별서 관련 유적으로 별서정원의 유구와 바위에 암각된 각자, 동천 경역 내의 지형과 산림이 잘 보존되어 있는 명승이

  • 서천갯벌 / 舒川─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과 장항읍 송림리 유부도 일대의 연안습지. 서천갯벌은 금강 하구에 인접해 있다. 이 지역은 우리나라 3대 철새도래지 중 하나이기 때문에 겨울이 되면, 많은 철새들이 찾는 곳이다. 국토해양부는 2008년 1월 29일에 충청남도 서천군 일원의 갯벌 16

  • 서한만 / 西韓灣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철산반도(鐵山半島)와 황해도의 장연반도(張淵半島) 사이의 황해안 연안에 있는 만. 동해안의 동한만에 대비되는 한반도 서안의 만으로 그 폭은 약 150㎞, 만입은 약 70㎞이며 수심은 얕아 30m를 넘지 않는다. 조수가 가장 많이 빠졌을 때에는 연안을 따라 간석지

  • 서흥강 / 瑞興江 [지리/자연지리]

    황해도 서흥군(지금의 황해북도 서흥군)의 말굴이고개에서 발원하여 은파군에서 은파천과 합류하여 재령강으로 흘러드는 강. 길이 100.8㎞, 유역넓이 1,373㎢이며, 대동강의 제2지류이다. 이 강은 홍수천을 비롯하여 크고 작은 16개의 지류들이 흘러들며, 또한 1961년

  • 석담구곡 / 石潭九曲 [지리/자연지리]

    황해도 벽성군 고산면 석담리에 있는 명승지. 석담은 선적봉과 지남산의 깊숙한 계곡이다. 은병정사를 중심으로 한 상·하 석담천의 아홉구비 풍광이 뛰어나 1575년(선조 8) 이이가 구곡의 이름을 붙이고,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를 지었다. 제1곡은 해주성 서쪽 18㎞에

  • 석도 / 席島 [지리/자연지리]

    황해남도 과일군에 속하는 섬. 석도의 면적은 7.955㎢, 둘레는 42.42㎞, 높이는 132m이다. 북부 월사반도 비파곶에서 북쪽으로 약 3.5㎞ 떨어 져 있고 과일군 석도리에 속한다. 북쪽에는 덕도(德島), 남서쪽에는 초도(椒島)가 있고, 남쪽에는 5㎞ 가량의 좁은

  • 석룡산 / 石龍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과 경기도 가평군 북면에 걸쳐 있는 산. 석룡산은 북위 38°59′52″, 동경 127°28′44″에 위치하며 지리적으로 북쪽에서 발달한 광주산맥의 지맥이 남동방향으로 발달하여 있다. 식물구계 지리학상으로볼 때 한반도 중부아구에 속한다. 정상에 꾸불

  • 석모도 / 席毛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2,202명(남 1,113명, 여 1,089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1,075세대이다. 중동부에 위치한 석모리가 중심지를 이루어 면사무소·우체국·농협·수협 등이 있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13.8

페이지 / 9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