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김양행 / 金亮行 [종교·철학/유학]

    1715(숙종 41)∼1779(정조 3).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아버지는 참판에 추증된 김신겸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로 좌의정 이이명의 딸이다. 민우수의 문인, 이간의 인물동성론에 동조한 김창흡의 영향을 받아 낙론을 지지하는 입장을 취했다. 오직 학문연구에 전념하

  • 김억 / 金億 [문학/현대문학]

    항일기의 시인·평론가(1896-?). 호는 안서·안서생(岸曙生)·A. S..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과정에 그가 남긴 공적은 매우 컸다. 특히, 1921년 간행된 우리나라 최초의 역시집 《오뇌의 무도》가 폐허 및 백조동인들의 초기시에 미친 영향은 더욱 주목된다. 그리고

  • 김억득 / 金億得 [예술·체육/국악]

    생몰년 미상. 일제강점기의 국악가. 전라북도 남원시(南原市) 쌍교동(雙橋洞)에서 출생하였으며, 본명은 김사문(金士文)이다. 성품이 호협하고 생각이 진취적이며, 창의력이 뛰어나 문예활동이 왕성했다. 전국의 명창, 명기들을 모아 서울에서 협률사(協律社)를 조직하였고, 《

  • 김언건 / 金彦健 [종교·철학/유학]

    1511(중종 6)∼1571(선조 4).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공저, 아버지는 장사랑 자, 어머니는 흥양이씨이다.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어 어려운 과정에서 학문을 닦았고, 장년이 되자 노수신·임훈 등과 교유하였다. 저서로는『운정유집』이 전한다.

  • 김언신관련고문서 / 金言愼關聯古文書 [언론·출판/출판]

    조선전기 문신 김언신의 종손가에 소장된 문서. 종가문서. 김언신(1492∼1553)은 1532년(중종 27) 생원에 오른 후 경상도 밀양·청송·동래 등 7읍의 교수를 역임했다. 관련 고문서는 교지 8점으로, 2005년 5월 23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4호로 지정

  • 김여진 / 金麗鎭 [역사/근대사]

    1855-미상.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황해도 수안(遂安)이다. 천도교구장이었던 안봉하(安鳳河)를 중심으로 나용일(羅龍一)·장성도(張聖道)·김동선(金洞宣)·이달하(李達河)·안창식(安昌植)·홍길재(洪吉載)·홍두익(洪斗益)·이응호(李應浩)·이윤식(李潤植) 등과

  • 김연 / 金演 [종교·철학/유학]

    1547(명종 2)∼1640(인조 18). 조선 중기의 의병. 아버지는 부장 두문, 어머니는 김우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자질이 뛰어나 그의 백형 길과 재종형 면과 합하여 김씨 삼군자라 칭송되었다.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 면이 조종도·곽준·문위 등과

  • 김연광 / 金練光 [종교·철학/유학]

    1524(중종 19)∼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수련, 아버지는 영원군수 이상. 1555년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교리, 제용감첨정, 평양판관, 부현현감, 평창군수, 회양부사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송암유고』 한권이 남아 있다.

  • 김연순 / 金演淳 [역사/근대사]

    1881-1946.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기독교인. 본적은 경상북도 영덕(盈德)이다. 1919년 3월 19일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蒼水面) 창수동(蒼水洞)의 독립만세운동에 참가하였다. 이곳의 독립만세운동은 신기동(新基洞) 구장 이현설(李鉉卨)과 이수각(李壽珏)·이

  • 김연실전 / 金姸實傳 [문학/현대문학]

    김동인(金東仁)이 지은 단편소설. 1939년 3월 『문장』 2집에는 ‘김연실전’, 5월에는 ‘선구녀(先驅女)’, 1941년 2월에는 ‘진주름’이라는 제목으로 같은 잡지에 3회에 걸쳐 발표되었다. 이 작품은 당시 신여성 문학인이었던 김명순(金明淳)을 모델로 하였다고 하여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