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김안국 / 金安國 [종교·철학/유학]

    1478(성종 9)∼1543(중종 38). 조선시대 문신·학자. 참봉 연의 아들, 정국의 형이다. 1507년(중종 2)에는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제, 지평·장령·예조참의·대사간·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모재집≫·≪모재가훈≫·≪동몽선습≫ 이 있고, 편서로는

  • 김안로 / 金安老 [종교·철학/유학]

    1481(성종 12)∼1537(중종 32).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군수 우신, 아버지는 참의 흔, 어머니는 윤지의 딸이다. 1501년(연산군 7) 진사가 되었고, 1506년(중종 1) 별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전적에 처음 임명된 뒤 수찬·정언·부교리

  • 김알지설화 [문학/구비문학]

    경주김씨의 시조 김알지에 관한 신화. 『삼국유사』 기이(紀異) 제2 김알지 탈해왕대조(金閼智脫解王代條)와 『삼국사기』 신라본기 탈해이사금조(脫解尼師今條)에 수록되어 있다. 알지는 열한(熱漢)을 낳고, 열한은 아도(阿都)를 낳고, 아도는 수류(首留)를 낳고, 수류는 욱부

  • 김약국의 딸들 / 金藥局─ [문학/현대문학]

    박경리(朴景利)가 지은 장편소설. 1962년 을유문화사에서 간행하였다. 얼킨 욕망과 운명에 의하여 지방의 유족한 한 가정이 몰락해가는 과정과, 한말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이르는 사이에 부(富)가 신흥세대로 이동하는 사회적 변동이 펼쳐지고 있다. 이 작품에는 욕망의 엇갈림,

  • 김약로 / 金若魯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4∼1753). 할아버지는 김징, 아버지는 대제학 김유, 어머니는 송박의 딸이다.《숙종실록》 보충의 잘못을 논하다가 유배당하였으나 이듬해에 석방되었다. 1744년 공조·호조·병조의 판서가 되었고, 1746년 우참찬, 이듬해 판의금부사를 거쳐 1

  • 김약수 / 金若水 [정치·법제/정치]

    1892년(고종 29)∼미상. 노동운동가·정치가. 서울의 휘문의숙과 경성공업학교를 졸업, 3·1운동의 소식이 중국에 전해지자 김원봉과 헤어져 이여성과 함께 귀국하였다. 1923년에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국내에 잠입한 정재달과 접촉하여 구금, 1924년 4월에는 김사국·

  • 김양경시집 / 金良鏡詩集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 문인 김양경(金良鏡, ?~1235)의 시문집(詩文集). 『김양경시집(金良鏡詩集)』에 관한 기록은 『허백당집(虛白堂集)』 권6과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 등에 보인다. 성현(成俔, 1439~1504)이 「김양경시집서(金良鏡詩集

  • 김양보호성공신록 / 金良輔扈聖功臣錄 [언론·출판/출판]

    1604년 무신 김양보를 호성공신 3등에 책록한 교서. 공신교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87호. 1604년(선조 37) 가의대부(嘉義大夫, 종2품) 내시부상호(內侍府尙弧)인 김양보를 충근정량호성공신(忠勤貞亮扈聖功臣) 자헌대부(資憲大夫, 정2품)인 삼등공신으로 한 계

  • 김양선 / 金良善 [종교·철학/개신교]

    1907년∼1970년. 장로교 목사·고고학자·교회사학자. 1907년 평안북도 의주군 비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관근은 장로교 목사였으며, 어머니 백관성은 홍준의 딸이다. 1921년 중원학교, 신성중학교와 숭실전문학교, 그리고 평양의 장로회신학교를 졸업하였다. 1942년

  • 김양정 / 金養禎 [종교·철학/유학]

    1785년(정조 9)∼1847년(헌종 13).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 김해진의 2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동생 지암 김양식이 있다. 정종로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금시술·이원조·이휘녕·정상진·황반노 등과 도의로 교유하였다. 1834년(순조 34) 식년시 생원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