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김시화 / 金始鏵 [종교·철학/유학]
1662년(현종 3)∼1732년(영조 8). 조선 후기의 유생. 아버지는 통덕랑 김정휘, 어머니는 통훈대부 이상언의 딸이다. 종조 이요석에게서 수업하였으며, 우헌 유세명이 그를 보고 재능이 뛰어나니 상경하여 면학하도록 격려하였다. 부친의 명으로 과거에 나가 1702년
김시황 / 金時晄 [역사/근대사]
생몰년 미상. 독립운동가. 일명 중량(仲亮). 평안북도 의주 출신. 1920년 김동식(金東植, 일명 攸信)·한우종(韓禹鍾)·백운기(白雲起)·김도원(金道源)·조원세(趙元世)·박초식(朴楚植)·박종식(朴宗植) 등과 함께 의주군의 동암산(東巖山)에서 의용군을 모집, 훈련하여
김신겸 / 金信謙 [종교·철학/유학]
1693(숙종 19)∼1738(영조 14).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진사 창업, 어머니는 이속의 딸이다. 숙부인 김창흡을 사사하였다.큰아버지인 영의정 김창집이 노론 4대신의 한 사람으로 신임사화에 거제도로 유배될 때 연루되어 함께 유배되었다. 1725년(영조 1)
김신근 / 金信根 [역사/근대사]
1878-1945.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함경남도 홍원(洪原)이고, 독립운동 당시 주소는 중국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용정(龍井)이다. 1919년 2월 중국 길림성 용정촌(龍井村) 영신학교(永新學校)에서 기독동지청년회(基督同志靑年會)를 조직하고 연
김신부부사혼기 / 金申夫婦賜婚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이덕무(李德懋)가 지은 전(傳). 『아정유고(雅亭遺稿)』 권12에 실려 있다. 이 글은 신해년에 혼기를 놓친 백성에 대한 칙명으로 김씨와 신씨의 혼사를 기록한 것이다. 끝에는 이덕무의 찬사가 첨가되어 있다. 한편 이것을 희곡으로 꾸며 「동상기(東廂記)」라고
김신선전 / 金神仙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작자가 28세 때인 1764년(영조 40) 이후에 쓴 작품이다. 『연암별집 燕巖別集』 권8 방경각외전(放璚閣外傳)에 실려 있다. 「김신선전」은 박지원의 끈질긴 추적으
김심 / 金諶 [종교·철학/유학]
1445(세종 27)∼1502(연산군 8).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내자시유 해, 아버지는 참의 우신, 어머니는 지청풍군사 이계충의 딸이다. 김종직의 문인이다.1474년(성종 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479년에는 좌랑으로서 문과중시에 을과로 급제하여
김씨괴정본중금보급방향보 / 金氏槐庭本中芩譜及方響譜 [예술·체육/국악]
조선후기 궁중 악사들이 「여민락」·「취타가악」·「방향령보」 등을 수록한 악보. 1책. 사본. 송석하(宋錫夏)의 『현존조선악보(現存朝鮮樂譜)』(1943)에 소개된 내용은 「여민락(與民樂)」·「미후입리(尾後入里)」·「관악보허자(管樂步虛子)」·「미후리(尾後里)」·「취타가악
김씨세효도 / 金氏世孝圖 [교육/교육]
1865년 김석봉이 김윤광 일가의 효행을 기록한 언행록. 교훈서. 1책. 목판본. 구성 체재는 『삼강행실도』의 체재를 따르고 있으며, 각 항목마다 도판과 언해가 함께 실려 있다. 조성하(趙成夏)·김병국(金炳國)·홍재철(洪在喆)·김병기(金炳冀) 등의 서문과 조영하(趙寧
김씨열행록 / 金氏烈行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활자본. 이 작품은 한 여인의 열행을 표현해놓은 윤리소설의 유형을 띠고 있다. 양은 얼마 되지 않지만 한 여인의 열행을 사실적으로 묘사해 놓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 조선 후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일부 계모형 가정소설의 전형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