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서흥김씨삼강정문 / 瑞興金氏三綱旌門 [사회/가족]

    경기도 안성시 고삼면에 있는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 김충수 관련 문(門).정문(旌閭). 시도기념물. 경기도 기념물 제77호로 충신 김충수(金忠守)와 그의 아들 김함(金涵)이 지평(持平)으로 추증됨과 후손의 열부를 기록하였다. 1636년(인조 14) 김함의 손자

  • 서흥향교 / 瑞興鄕校 [교육/교육]

    황해도(현재의 황해북도) 서흥군 서흥면 화곡리에 있는 향교. 1754년(영조 30)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좌우협실·동무(東廡)·서무(西廡)·동랑(東廊)·서랑(西廊)·신문(神

  • 서희순 / 徐憙淳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93∼1857). 1816년(순조 16)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대교·응교·대사성·이조참의·대사간·홍문관부제학·이조참판·예조참판·직제학·대사헌·형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855년(철종 6) 진위 겸 진향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 석견루시초 / 石見樓詩鈔 [언론·출판]

    저자 이복현(1767-1853). 간본. 2권 2책. <석견루시초>는 맨 앞에 홍석주와 이만수의 서문이 나오고, 그 다음에 김이도, 김려, 김선, 이익회, 서영보, 신위, 김유근, 이낙수, 이지연, 김정희의 발문이 있다.

  • 석계서원 / 石溪書院 [교육/교육]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석천리에 있는 서원. 조선시대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예(李藝)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경내의 건물로는 상충사(尙忠祠)·경수당(敬守堂)·신문(神門)·적실재(蹟實齋)·치지재(致知齋)·주소(주所)

  • 석고가 / 石鼓歌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조수삼(趙秀三)이 지은 한시. 칠언고시. 72구. 내용의 이해를 돕는 주를 달았다. 『추재집(秋齋集)』 권5에 수록되어 있다. 석고문을 소재로 하여 그것에 대한 감회·역사·모양 등에 대하여 읊은 시이다. 1단에서는 한유(韓愈)와 소식(蘇軾)의 석고에 대한

  • 석루집 / 石樓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 이경전의 시문집. 4권 4책. 목판본. 아들 무가 병자호란에 없어지고 남은 원고를 모아 편집, 간행하였다. 권1·2에는 시, 권3에는 소·차·제문·기·발·설·명·인·상량문·서·책, 권4에는 부록이 수록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보아 시가 가장 많은 분량

  • 석말 / 舃襪 [정치·법제]

    신과 버선. 석은 왕복 중에서 조ㆍ제복에 착용하는 신이다. 보통의 신은 단층으로 되어있으나 석은 겹으로 되어 있어 상층은 가죽이고, 하층은 목재로 되어 있다. 기록에 의하면 예를 행할 때 오래 서있으면 발바닥이 축축해지는데 이를 피하기 위해 나무를 댔다고 한다. <영

  • 석문정시가단 / 石門亭詩歌壇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 채헌(蔡瀗)을 중심으로 석문정(石門亭)에서 이루어진 시가 모임. 석문정시가단은 경상북도 문경 지역의 사족 채헌(1715~1795)이 1787년(정조 11) 현재 문경시 산북면 이곡리에 석문정을 세우고 친인척, 동학과 더불어 시가를 창작하고 향유하는 활동을 펼

  • 석별가 / 惜別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2음보 1구로 헤아려 총 217구이며 4·4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혼인식을 올린 뒤 친가에 머물다가 시댁으로 아주 살러갈 신행(新行)날을 잡아놓은 신부가 친구들에게 신행풍속을 읊은 노래이다. 여자들은 남자들과 달리 여러가지 자잘한 일들로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