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김시민선무공신교서 / 金時敏宣武功臣敎書 [언론·출판/출판]

    1604년 무신 김시민을 선무공신 2등에 책록한 교서. 공신교서. 임진왜란이 끝난 후 조정에서는 18명에게 선무공신을 책봉하였는데,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인 진주대첩(晋州大捷)에서 큰 공을 세워 선무2등공신에 책봉된 김시민에게 내린 교서이다. 2006년 12월 29일

  • 김시백 / 金時伯 [역사/근대사]

    1887-1950. 항일기의 의병장. 1907년 군대해산 이후 의병을 일으켜 영월의병장으로 활약하였고, 1908년 소모장으로서 강원도·경상북도·충청북도 일대에서 의병모집활동에 주력하였다. 그러나 결국 영주에서 붙잡혀 징역 10년의 옥고를 치르고 출옥하였다. 건국포장

  • 김시보 / 金時保 [종교·철학/유학]

    1658년(효종 9)~1734년(영조 10).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김광현, 조부는 김수인, 부친은 김성우이다. 외조는 윤형성, 형으로 헌간공 김시걸이 있다. 1684년(숙종 10) 식년시 진사 1등에 3위로 합격하였다. 관직은 선공부정을 지냈다. 손자로 김이곤이

  • 김시빈 / 金始鑌 [종교·철학/유학]

    1684(숙종 10)∼1729(영조 5).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통덕랑 김정휘, 어머니는 이상언의 딸이다. 1702년(숙종 28) 사마시에 합격하고, 그해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필선을 거쳐 1724년(영조 즉위년) 장령이 되어 영조의 탕평책을 두둔하다

  • 김시성 / 金是聲 [종교·철학/유학]

    1602(선조 35)∼1676(숙종 2). 조선 중기의 무신. 증조부는 김영, 아버지는 김사행이다. 1637년(인조 15)에 무과에 급제, 1644년 익찬이 되어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을 시종하여 심양에 다녀왔다. 1648년 충청수사가 된 뒤 강계부사·함경남북병사·어영중군

  • 김시숙 / 金時淑 [역사/근대사]

    1880-1933.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여성운동가. 본관은 김해(金海)이며, 제주도 신좌면(新左面) 조천리(朝天里) 출신이다. 두 번의 결혼에 실패한 후, 숙부 김문주(金汶柱)의 권유로 40세의 늦은 나이에 글을 배워, 개화여성으로 활동하였다. 1925년 ‘여수원(

  • 김시습 / 金時習 [종교·철학/유학]

    1435(세종 17)∼1493(성종 24). 조선 초기의 학자·문인. 생육신의 한 사람이다. 1455년 수양대군의 왕위찬탈에 반대하여 중이 되었다. 1463년 잠시 세조의 불경언해사업을 도왔고, 우리나라 최초 한문소설 <금오신화>를 지었다. 유불교체기에 태어나 유교와

  • 김시습 초상 / 金時習 肖像 [예술·체육/회화]

    조선시대 승려이자 문인이었던 김시습의 초상. 보물 제1497호.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72㎝, 가로 48.5㎝.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무량사(無量寺)에 소장되어 있다. 조선 전기의 승려이자 문인이었던 김시습(金時習)을 그린 영정이다.

  • 김시습전 / 金時習傳 [문학/한문학]

    1582년이이(李珥)가 지은 전(傳). 김시습에 대하여 지은 전이다. 『율곡집(栗谷集)』 권14∼16 잡저에 실려 있는 작자의 유일한 전이다. 김시습의 선세가계(先世家系)에서 시작하여, 어린 시절 학문을 처음 익히는 과정에서 있었던 일화와 단종의 손양(遜讓)과 세조의

  • 김시양 / 金時讓 [종교·철학/유학]

    1581(선조 14)∼1643(인조 21). 조선 중기의 문신. 김언묵의 증손, 할아버지는 김석, 아버지는 비안현감 김인갑, 어머니는 남양 홍씨로 서윤 홍이곤의 딸이다. 1605년(선조 38)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전라도도사, 예조정랑, 도원수, 판중추부사를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