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김수삼 / 金秀三 [종교·철학/유학]

    1679년(숙종 5)∼1767년(영조 43).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 승지 김우벽과 모친 참판 유세정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6세에 19사를 읽었고, 15세에 사서삼경과 외사자집을 읽었다. 향시에는 여러 번 합격하였으나 대과에서는 번번이 실패하자 벼슬길을 단념하였다

  • 김수악 / 金壽岳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중요무형문화재 12호「진주검무」 전승자로 지정된 기예능보유자.전통무용가.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읍 출생. 아버지 김종옥은 국악애호가에 한량이었고, 작은 아버지 김종기는 진주권번의 가야금 선생이었다. 9세에 진주권번에 들어가 김옥민에게 춤을 배우기 시작하여, 김

  • 김수오 / 金秀五 [종교·철학/유학]

    1669년(현종 10)∼1742년(영조 18). 조선 후기의 유학자. 자는 여실(汝實), 본관은 안산(安山)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여 문예에 뛰어났으며, 경전을 두루 익혔다. 한수 권상하가 만동사에서 향음주례 할 때 경전과 예법에 대해 질의를 하였으며, 경론에

  • 김수온부조묘 / 金守溫不祧廟 [예술·체육/건축]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 김수온을 배향한 사당.시도기념물. 정면 3칸·측면 1칸 반의 목조맞배집 건물. 충청북도 기념물 제48호. 조선 초기의 문신 김수온을 제향하는 사당이다.본래는 1487년(성종 18) 왕명으로 보은읍 종곡리에 세웠는데, 1664

  • 김수인 / 金守訒 [종교·철학/유학]

    1563(명종 18)∼1626(인조 4).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참봉 김태을, 어머니는 김휘의 딸이다. 정구의 문인으로,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에는 작은아버지 김태허가 울산군수로 화왕산을 지키고 있을 때 옆에서 계책을 세워 많은 전공을 세우게 했다.

  • 김수장 / 金壽長 [문학/고전시가]

    1690(숙종 16)∼? 조선 후기의 가인. 김천택과 더불어 숙종·영조 시대를 대표하는 쌍벽의 가인이다. 그가 1769년(영조 45)까지도 자신이 편찬한 가집의 보수작업을 한 것으로 보아 80세가 넘도록 생존하였음이 분명하다.

  • 김수증 / 金壽增 [종교·철학/유학]

    1624(인조 2)∼1701(숙종 27). 조선 후기의 문신·성리학자. 할아버지는 김상헌이다. 1650년(효종 1년)에 생원시에 합격하고, 1652년에는 세마가 되었다. 젊어서부터 산수를 좋아하여 금강산 등 여러 곳을 유람한 뒤 기행문을 남기기도 하였다. 그 뒤 형조

  • 김수창 / 金壽昌 [종교·철학/유학]

    1599(선조 32)∼1680(숙종 6).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우의정 김상용, 아버지는 김광형이다. 김장생 문하에서 학업을 쌓았다. 1624년(인조 2) 음서로 봉선전참봉, 익위사익위를 거쳐 여러 곳의 수령을 역임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남한산

  • 김수항 / 金壽恒 [종교·철학/유학]

    1629(인조 7)∼1689(숙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 김극효의 증손, 할아버지는 김상관,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김광찬, 어머니는 목사 김래의 딸이다. 1646년 진사시와 1651년(효종 2) 알성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 전적이 되었다. 이어 병조좌랑·사서·경

  • 김수흥 / 金壽興 [종교·철학/유학]

    1626(인조 4)∼1690(숙종 16).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생부는 동지중추부사 김광찬, 양부는 동부승지 김광혁, 양모는 김존경의 딸이다. 영의정 김수항의 형이다. 1655년(효종 6) 춘당대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이듬해 문과중시에 역시 병과로 급제한 뒤 부교리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