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서원연고 / 瑞原聯稿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김려(金礪)와 그 선대의 시문을 모아 엮은 책. 3권 2책(乾, 坤). 이 책은 1738년(영조 14) 김려가 처음으로 엮었으며, 1914년 김려의 7대 방손인 김기우(金基禹)가 그 내용을 증보하여 지금의 모습으로 간행하였다. 서문은 이병수(李炳壽)가 썼고
서원전 / 書院田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서원의 경영·유지에 필요한 경비를 조달하기 위해 설정된 토지. 서원전은 보통 유림에서 거둔 기부나 피제사자의 후손이 낸 갹금(醵金)으로 설정되는 것이 상례지만, 사액서원과 같은 저명한 큰 서원에 대해서는 선유를 존숭하고 교화를 장려하는 뜻에서 국가나 국왕이
서원촌 / 書院村 [사회/촌락]
조선시대 서원의 재정적·인적 기반이 되던 마을. 서원촌의 주민은 서원에서 청소와 심부름, 수직(守直), 제수(祭需) 마련, 유생공궤(儒生供饋) 등 원노(院奴)가 하는 잡역을 담당하였다. 법전상으로는 사액서원을 제외하면 서원촌 주민의 면역규정은 없지만, 서원은 향교의 예
서유구 / 徐有榘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문신(1764∼1845). 1790년(정조 14)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후에 이조판서·대제학 등을 역임했다. 흉년을 극복하기 위해 고구마를 실제보급하기도 하였고, 자신의 농학을 집대성하여 만년에 《임원경제지》를 저술하였다.
서유방 / 徐有防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1∼1798). 영조 때 과거 급제하여, 정조 때 승지·대사성·대사간·대사헌 등의 요직을 여러 차례 역임하였으며, 이후에도 규장각직제학·개성유수·이조참판·경기도관찰사·한성부판윤, 사역원 및 장악원의 제조, 형조·이조·병조·공조의 판서, 강원도관
서유본 / 徐有本 [문학/한문학]
1762년(영조 38)∼1822년(순조 22).조선 후기의 문인. 서호수(徐浩修)의 장남이다. 서철수(徐澈修)에게 양자 간 서유구(徐有榘)와 친형제간이며, 『규합총서(閨閤叢書)』의 저자로 잘 알려진 빙허각이씨(憑虛閣李氏)의 남편이다. 동생인 서유구의 「백씨좌소산인묘지
서유영 / 徐有英 [문학/고전산문]
1801(순조 1)∼1874(?)(고종 11(?)).조선 후기의 문인. 달성위(達城尉)서경주(徐景霌)의 6대손으로서, 아버지 서격수(徐格修)와 어머니 안씨(安氏)의 2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나, 숙부 서옥수(徐沃修)의 양자로 들어갔다. 1868년(고종 5) 이후는 유
서유일기 / 西遊日記 [언론·출판]
저자 미상. 필사본. 불분권 1책. 1792년(정조 16)의 필사로 추정되는 저자 친필본이다. 본서의 표제는 <서유일기>로 되어 있지만 일반적인 일기 형태의 날짜와 상황이 모두 빠지고 감흥의 결과인 시만을 기록하였다. 일종의 유람시집인 셈이다.
서윤 / 庶尹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한성부·평양부의 종4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69년(예종 1)에 한성부의 관제를 개혁하여 종래의 정4품관이던 소윤을 없애고 종4품관으로 서윤을 두었다. 판윤·좌윤·우윤 등을 도왔는데, 1887년(고종 24) 관제의 개혁으로 폐지되었다. 세조 12년(1
서응순 / 徐應淳 [종교·철학/유학]
1824년(순조 24)∼1880년(고종 17). 조선 말기의 문신·학자. 달성부원군 종제의 후손이다. 유신환의 문하에서 심기택·민태호·김윤식 등과 함께 수학하였다. 1870년(고종 7) 음보로 선공감감역·군자감봉사·영춘현감, 간성군수로 부임하여 임지에서 죽었다. 성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