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서사원 / 徐思遠 [종교·철학/유학]
1550(명종 5)∼1615(광해군 7). 조선 중기의 학자. 필의 증손, 할아버지는 응기, 아버지는 흡, 큰아버지 형에게 입양되었다. 정구의 문인이다. 주자학 및 이황의 문집을 깊이 연구하고 중년 이후는 후진을 가르쳤다. 선조 때 학행으로 감역·찰방을 지내고, 159
서산대사설화 [문학/구비문학]
조선 중기의 고승(高僧)·승군장(僧軍將)이었던 서산대사 휴정(休靜)에 관한 설화. 휴정만이 등장하는 이야기도 있지만, 흔히 사명당(泗溟堂)유정(惟政)과 함께 지혜 또는 도술을 겨루는 이야기로 전승된다. 이 밖에도 서산대사에 얽힌 민간설화들이 상당히 많은데, 이들 자료에
서산대사전 / 西山大師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활자본. 서산대사 휴정(休靜)의 설화를 소설화한 작품이다. 이 작품의 주인공 휴정은 조선 선조시의 승군장(僧軍將)으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격문(檄文)주 01)을 돌려 승병 1,500명을 규합하여 이들의 총수(總帥)가 되었
서산일락가 / 西山日落歌 [문학/고전시가]
1567년(명종 22)김응정(金應鼎)이 지은 시조. 1773년(영조 49)에 간행된 『해암문집(懈菴文集)』에 실려 전한다. 이 시조가 조식의 작품으로 기록되어 전승된 경우도 위의 두 가지 사례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만약, 『해암문집』과 「김해암가곡집서」가 발굴되지
서산향교 / 瑞山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서산시 동문동에 있는 향교. 1406년(태종 6)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648년(인조 26) 서문(西門) 밖에서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으며, 1970년대에 여러 차례 보수를 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서상우 / 徐相雨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31∼1903). 종사관으로서 미국·영국과의 수호통상조약체결 때 참여하였다. 갑신정변 직후 전권대신으로 일본과 개화파 인사의 송환을 협상하였으나 실패하였다. 한·러밀약설의 진상 규명을 위해 텐진을 방문했고, 영국군의 거문도 점령 철수를 요청하였다
서석집 / 瑞石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김만기의 시문집. 18권 9책. 활자본. 1701년(숙종 27) 손자 춘택에 의해 수집, 간행되었다. 권1∼4에 시 569수, 권5에 서·기·제후·제문·송·잠 28편, 권6에 전·비답·교서·별유·상량문·애책문·고제문·치제문·책문·서계 33편, 권
서성구 / 徐聖耉 [종교·철학/유학]
1663(현종 4)∼1735(영조 11). 조선 후기의 학자·서예가. 아버지는 숙이다. 1691년(숙종 17)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어려서부터 대자를 써서 이름이 났고 혼자서 학문에 힘써 크게 경지에 이르렀으며, 특히 초서에 능하여 일세에 독보적인 존재가 되었다. 저서
서승보 / 徐承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4∼1877). 1856년(철종 7)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충청우도암행어사·승지를 차례로 지냈다. 1864년(고종 1) 이조참의 이후 예조참판·예문관제학·홍문관제학·이조참판·한성부판윤·형조판서에 이르는 등 내외직을 역임하였으며, 글씨에 능하였다
서식 / 徐湜 [종교·철학/유학]
1561(명종 16)∼1644(인조22). 조선 중기의 지사. 아버지는 봉사 충립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 김천일·고경명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으나 병으로 물러났다.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고향 사림들의 추천으로 다시 의병장이 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