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김성일 / 金誠一 [종교·철학/유학]

    1538-1593. 조선 선조때의 성리학자. 아버지는 김진이며, 어머니는 여흥 민씨이다. 이황의 문인이다. 1568년 과거급제하였다. 1590년 통신부사로 일본에 건너가 실정을 살피고 침략이 없을 것이라 보고 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처벌이 논의되었으나 유성룡의

  • 김성일 종가 전적 / 金誠一宗家典籍 [사회/가족]

    조선전기 문신·학자 김성일의 종손가(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 소장된 유학서.종가유물. 이 전적들은 보물 제905호로 지정된 것들로 56종 261책이다.『경자자체(庚子字體)』·『사기(史記)』등 간본(刊本) 28종 176책, 김성일의 자필본인『경연일기(經筵日記)』

  • 김성일유서 / 金誠一諭書 [역사/조선시대사]

    1592년 문신·학자 김성일을 경상우도 병마절도사 등의 관직에 제수한 교서. 종가유물. 이 유서는 1592년(선조 25)에 선조가 경상우도 병마절도사가 된 김성일에게 내린 문서이다. 1987년 3월 7일에 보물 제906호로 지정된 김성일 종가 고문서 일괄 17종 24

  • 김성일종가고문서 / 金誠一宗家古文書 [사회/가족]

    조선전기 문신·학자 김성일의 종손가에 소장된 문서.종가문서. 이 고문서들은 보물 제906호로 지정된 17종 242점이며,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의 김시인(金時寅)이 소장하고 있다. 이들 고문서는 30여 종 1만 점 중에서 선별, 지정한 것이다. 교서와 유서는 임

  • 김성탁 / 金聖鐸 [종교·철학/유학]

    1684(숙종 10)∼1747(영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할아버지는 생원 김방렬, 아버지는 김태중, 어머니는 김여만의 딸이다. 1735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 사헌부지평, 사간원정언·홍문관수찬 등을 역임하였다. 1737년이현일의 신원소를 올렸다가 왕의

  • 김성택 / 金聖澤 [역사/근대사]

    1897-1950년. 독립운동가. 평안남도 안주 출신. 안주에서 3·1운동에 참가한 뒤 만주로 망명, 대한독립단에 가입하여 활동하다가, 1920년 6월에 대한독립단과 대한청년연합회의용대가 합류하여 광복군총영(光復軍總營)이 조직되자 결사대원이 되었다. 1920년 8월 미

  • 김성호 / 金性豪 [종교·철학/유학]

    1659년(효종 10)∼1720년(숙종 46). 조부는 공조정 김민교이다. 부친 승지 김재현과 모친 청송심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첨정 한지원의 딸이다. 학문에 뜻을 두어 갖가지 성리학에 관한 책들을 탐독하였다. 학덕으로 인해 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 김성호 / 金聖灝 [역사/근대사]

    1891-?.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1919년 독립만세운동에 앞장섰다가 투옥되었다. 이후 만주로 망명하여 대한정의단 임시군정부에 가입, 활약하였다. 1920년 9월 1일 국내에 잠입했다가 체포되어 징역 15년 언도를 받고, 마포·신의주에서 복역하였다.

  • 김성흠 / 金聖欽 [종교·철학/유학]

    1682년(숙종 8)∼1757년(영조 33).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는 김시온, 부친은 김구중, 모친은 이표의 딸이다. 이동완과 이현일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외조부 이표에게 나아가 문장을 배웠다. 1728년(영조 4) 이인좌·이양신의 난을 토벌하기 위해 의병을 일

  • 김세겸 / 金世謙 [종교·철학/유학]

    1593~1646. 조선 중기의 문신. 부친은 김류이다. 생원시와 진사시에 모두 합격하여 참봉에 제수되었다. 1545년(인종 1)에 윤원형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남해로 귀양을 갔다. 아들 김영이 경학으로 천거되어 찰방에 제수되었다.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