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서대주전 / 鼠大州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한문 필사본. 이 작품으로는 문선규본(文璇奎本)과 『문장(文章)』(제2권 제4호)에 수록된 것이 있으며, 이 두 작품은 동일계 이본이다. 쥐들의 소송사건을 소재로 한 의인소설은 이 작품 외에도 국문본인 「서동지전(鼠同知傳)」

  • 서도과 / 西道科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평안도와 황해도에서 실시된 특별과거. 국방상의 요지인 평안도와 함경도에는 3년마다 정기적으로 열리는 식년시 이외 시재나 별시가 자주 실시되었다. 1643년(인종 21) 평안도에 서도과를, 1664년(현종 5) 함경도에 북도과를 각각 창설하였다. 고시과목은 부

  • 서동지전 / 鼠同知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 활자본. 쥐들의 소송사건을 소재로 한 의인소설로, 풍자소설의 유형을 띤 작품이다. 소재가 유사한 「서옥기(鼠獄記)」·「서대주전(鼠大州傳)」 등의 한문본과는 전혀 별개의 작품이다.「서동지전」은 다람쥐가 서대주에게 은혜를 입

  • 서리 / 書吏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경아전의 하급 서리. 상급 서리인 녹사와 함께 주로 서책의 보관, 도필(刀筆)의 임무 등을 맡았던 경아전에 속하는 하급 서리였다. 본래의 소속은 의정부와 중추부였으나 동반의 각 관사에는 의정부가, 서반의 각 관사에는 중추부가 이들을 나누어 배속시켰으므로 근무

  • 서리복 / 胥吏服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서리의 복식. 서리는 관료계급과 평민계급의 중간에 있으며, 집권기구의 말단을 담당하는 관리를 말한다. 이에는 경아전과 외아전이 있었는데, 경아전에는 녹사와 서리가 속하였고, 외아전에는 이방·호방·예방·형방·공방 및 사창색을 비롯한 각색·서원·승발 등 소위 향

  • 서명응 / 徐命膺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16∼1787). 정리 증손, 할아버지는 문유, 아버지는 종옥, 어머니는 이집의 딸이다. 영의정 명선의 형이다. 1754년(영조 30)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후에 이조판서·대제학 등을 지냈다. 이용후생을 추구하였는데, 이는 아들 서호수와 손자

  • 서명형 / 徐命珩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7∼1750). 1723년(경종 3) 식년 문과에 급제, 영조 때 정언·헌납 등 사간원의 간관으로 활동하여 왕의 신임을 받았다. 이후 승정원승지·대사간을 거쳐 도승지로 있으면서 임인사화 때 죽은 김성행·백망 등의 추증을 요청하였다.

  • 서문중 / 徐文重 [종교·철학/유학]

    1634(인조 12)∼1709(숙종 35). 조선 후기의 문신. 성 증손, 할아버지는 경주, 아버지는 정리이다. 어머니는 이시발의 딸이다. 당숙인 함경도관찰사 원리에게 입양되었다. 1673년(현종 14) 학행으로 천거되어 동몽교관에 임명되었다. 청도군수, 이천부사,

  • 서방가 / 西方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세종 때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 미상의 경기체가. 전체 10장. 『염불작법(念佛作法)』에 전한다. 『염불작법』에는 작자가 의상(義湘)으로 되어 있으나, 후대인이 의상의 위명(威名)을 빌려 쓴 것으로 생각된다. 이 작품의 형식이나 『염불작법』이 1572년(선조

  • 서봉서원 / 瑞峯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강진군 작천면 현산리에 있는 서원. 1590년(선조 23)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후백(李後白)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강진군 성전면 월곡리에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12년(숙종 38)에 백광훈(白光勳)과 최경창(崔慶昌)을 추가 배향하였다. 선현배향과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