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고지명 60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고지명
  • 의주로 / 義州路 [지리/인문지리]

    한성(漢城)에서 의주를 연결하는 조선 시대의 간선로. 조선 시대 9대 간선로 중 가장 중요한 도로의 하나로 총 연장 약 1,080리의 교통 통신로였다. 이는 역원제(驛院制)가 국지적으로 실시되던 고구려 시대부터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전국적으로 실시된 고려 시대에 그 기반

  • 의항운하 / 蟻項運河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태안군 남면 신온리와 안면읍 창기리에 있는 운하. 고려 인종 때에 태안반도에 굴포를 개착할 계획을 세우고 착공하였으나 총 17리 거리에 10리를 완성, 불과 7리를 남겨두고 중지하였다. 그 뒤 조선 세조 때에도 삼남지방의 세미(稅米) 수송을 위하여 운하를 건설

  • 의흥 / 義興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군위 지역의 옛 지명. 의흥(義興)은 신라 때 구산현(龜山縣) 지역이었고, 고려 때 구산현과 부계현(缶溪縣)을 병합해 의흥군이 되었다. 이후 조선 1413년(태종 13)에 의흥현(義興縣)이 되었고 1895년(고종 32)에 대구부 소속 의흥군(義興郡)이 되었다.

  • 이도구 / 二道溝 [지리/인문지리]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현에 위치한 항일투쟁지. 이도구(二道溝)는 1910∼20년대 중국 동북지역 독립운동의 방식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하는 이도구사건(二道溝事件)이 발생한 지역이다. 또한 한국 독립운동사의 금자탑과 같은 청산리대첩(靑山里大捷)이 전개된 역사

  • 이도백하 / 二道白河 [지리/자연지리]

    백두산에서 발원하여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를 흐르는 하천. 이도백하가 흐르는 이도백하진(二道白河鎭)은 백두산 관광의 출발지이자 경유지로서 관광기지 역할을 한다. 안도현의 서남부에 위치하며, 백두산 북파 방면 해발 500m 지점에 자리 잡은 작은 도시이다. 2010년 이

  • 이리 / 裡里 [지리/인문지리]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 있었던 지명.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영토로서 소력지현(所力只縣)에 속하였으며, 신라의 삼국통일 후 757년(경덕왕 16) 옥야현(沃野縣)으로 고쳐져 금마군(金馬郡)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초기에 전주에 소속되었고, 1176년(명종 6) 감무가 파견되

  • 이물성 / 伊勿城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회양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각련성군(各連城郡, 또는 加兮牙郡)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연성군(連城郡)이 되어 삭주도독부에 예속되었다. 고려 초에 이물성으로 바꾸었고, 성종 때 교주단련사(交州團鍊使)로 품격을 높였다. 1018년(현종 9) 방어사로 고쳤

  • 이산 / 伊山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예산 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마시산군(馬尸山郡)이었는데, 신라 경덕왕이 이산군으로 고쳐 금무(今武)ㆍ목우(目牛)의 두 현을 예속시켰다. 고려 현종 때 홍주(洪州)에 예속시켰다가 뒤에 감무를 설치하였다. 1405년(태종 5) 덕풍(德豊)의 인구가 적다하여

  • 이산 / 利山 [지리/인문지리]

    충청북도 옥천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신라의 소리산현(所利山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이산으로 고쳐 관성군(管城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1018년(현종 9)경산(京山)에 이속시켰다가 1176년(명종 6) 감무를 두었다. 충선왕 때 다시 옥천의 속현으로 하였고

  • 이산 / 尼山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논산 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열야산현(熱也山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 이산현(尼山縣)으로 고쳐 웅주(熊州)의 속현으로 삼았다. 1018년(현종 9) 공주에 예속시켰다가 뒤에 감무를 두었고, 1414년(태종 14) 석성(石城)과 합쳐 이성(尼城)이라

페이지 / 6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