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 현 대 총 4,70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현 대
과학교육 / 科學敎育 [교육/교육]
자연과학에 관한 교육. 자연과학에 관한 교육에서는 과학을 두 가지 입장에서 보고 그 중요성을 논의할 수 있다. 하나는 과학을 자연계와 관련된 ‘체계화된 지식’으로 보는 종래의 과학교육으로서, 이는 체계화된 지식을 학습자에게 전수하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과학과 기술의
곽암 / 藿巖 [지리/자연지리]
울산광역시 북구 구유동 판지마을 앞 바다에 있는 바위. 2001년 12월 20일에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38호로 지정되었다. 고려시대에 지금의 울산 학성동에 자리한 신학성(神鶴城)을 방어하던 장군이었던 박윤웅(朴允雄)은 지방호족 세력 정비에 공을 세워, 유포에 있는 미역
곽재우설화 / 郭再祐說話 [문학/구비문학]
임진왜란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한 곽재우(郭再祐)에 관한 설화. 곽재우설화는 구전설화와 문헌설화에서 서술자의 시각에 따라서 다르게 구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구전설화에서는 민중들의 절대적 지지와 응원에 힘입어서 임진왜란에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고 전하는 반면, 문헌설화에
관각문학 / 館閣文學 [문학/한문학]
임금의 사명(辭命)이나 사대교린(事大交隣)의 표전(表箋)을 전담하는 홍문관·예문관 등 문학지관(文學之館)에서 이루어지는 일체의 문자행위. 조선시대에 이르러 권근(權近)·변계량(卞季良)·서거정(徐居正) 등이 국초에 문형의 영예를 누리었다. 문형 가운데서도 특히 시에 뛰어
관계언 / 關係言 [언어/언어/문자]
조사를 그 기능이 관계적인 데 있다 하여 부르는 품사 분류의 상위 개념. 기능에 따른 품사 분류의 상위 개념에는 관계언 이외에 체언, 용언, 수식언, 독립언이 있다. 관계언은 일반적으로 자립성이 있는 말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관계를 표시한다. 그러므로, 관계언의
관계화 / 關係化 [언어/언어/문자]
관형절 안의 명사(구)가 관형절의 수식을 받는 명사(구)와 동일하여 공범주로 실현되는 현상. 관형화 어미와 결합한 관형절 안의 어떤 명사(구)가 자신이 나타날 위치에 공범주(empty category)로 실현되면서 그것이 관형절의 수식을 받는 명사(구)와 공지표(co-
관광 / 觀光 [지리/인문지리]
다른 지방이나 다른 나라의 풍습·풍광·문물 등을 유람하는 산업. ‘관광’이라는 말의 어원은 주나라 때의 『역경』에 나오는 “관국지광이용빈우왕(觀國之光利用賓于王)”이라는 구절에서 비롯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한 나라의 사절이 다른 나라를 방문하여 왕을 알현하고 자기
관광취락 / 觀光聚落 [지리/인문지리]
관광자원을 기반으로 형성된 취락. 관광취락(觀光聚落)은 관광자원, 관광시설, 관광객 등의 특성에 따라 유형화된다. 관광자원에 기반을 두고 산악관광취락, 해안관광취락, 온천관광취락, 사적관광취락 등으로 불리지만, 이들 취락을 총칭해서 관광취락이라고 한다. 관광시설, 관광
관동지방 / 關東地方 [지리/인문지리]
강원도의 별칭. 고려 성종 때 전국을 10도로 편성하는 과정에서 오늘의 서울·경기 일원을 관내도(關內道)라고 하였다. 관동이라는 명칭은 관내도의 동쪽에 위치한 땅이라는 데서 명명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좁은 의미의 관동지방은 태백 산지를 횡단하는 길목인 대관령의
관동팔경 / 關東八景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동해안에 있는 여덟 곳의 명승지. 통천의 총석정(叢石亭), 고성의 삼일포(三日浦), 간성의 청간정(淸澗亭), 양양의 낙산사(洛山寺), 강릉의 경포대(鏡浦臺), 삼척의 죽서루(竹西樓), 울진의 망양정(望洋亭), 평해의 월송정(越松亭)을 들어 관동팔경이라 이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