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한문학 총 89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한문학
용천담적기 / 龍泉談寂記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문신 김안로가 35가지의 이야기를 수록한 야담집. 1권(42장). 필사본. 『희락당문고(希樂堂文稿)』 권8에 실려 있다. 『대동야승』과 『패림(稗林)』·『시화총림(詩話叢林)』에도 수록되어 있다. 『희락당문고』에서는 잡저로 분류되어 있다. 『용천담적기』는 김안로
우념재시문초 / 雨念齋詩文鈔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이봉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2년에 간행한 시문집. 10권 4책. 활자본. 이만용(李晩用)의 교정과 아들 명오(明五)·숭오(崇五) 등의 편집을 거쳐 1892년(고종 29)에 간행되었다. 표제에는 ‘우념재시초’ 또는 ‘우념재시문초’로 되었으나, 내용으
우당시초 / 于堂詩抄 [문학/한문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유학자 윤희구의 시 「교거잡감」·「동경잡영」·「소조자제」 등을 수록한 시집. 불분권 1책. 연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모두 없어 간행연도와 간행경위 등을 알 수 없다. 『우당시초』는 470여 수의 시로 이루어졌다. 오언절구 3수, 오언율
우상전 / 虞裳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단편소설. 영조 때에 역관인 우상(虞裳)이상조(李湘藻, 일명 李彦瑱 이언진)가 죽자 그의 행적과 남긴 시를 모아 엮은 열전체(列傳體)의 변체(變體)이다. 『연암별집 燕巖別集』 방경각외전(放璚閣外傳)에 실려 있다. 그러나 끝부분이
우원집 / 愚園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위항시인 임성원의 시「우음」·「필운대」 등을 수록한 시집. 2권 2책. 필사본. 선본(善本)이며, 간행하기 위하여 누군가가 정리해놓은 듯하나 서문과 발문은 갖추어져 있지 않다. 건(乾)·곤(坤) 2책에 330여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으며 문(文)은 한편도 없다.
우재집 / 愚齋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김노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4년에 필사한 시문집. 8권 4책. 필사본. 저자에 관한 기록은 실려 있지 않다. 그러나 강종희(姜宗喜)·김인식(金寅植)이 쓴 서문에 의하여 영조∼철종 때까지 생존하였던 인물로 보인다. 1884년(고종 21) 손자 인식(
운곡시사 / 耘谷詩史 [문학/한문학]
고려후기부터 조선전기까지 생존한 문인 원천석의 시 「대민음」·「회삼귀일 會三歸一」 등을 수록한 시집. 5권. 왕조교체기의 역사를 시로 다루었으므로 ‘시사(詩史)’라고 하였고, ‘운곡행록(耘谷行錄)’이라고도 한다. 작자는 고려 말에도 벼슬을 하지 않았고, 조선왕조가 들어
운곡집 / 雲谷集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문인 송한필의 시·잡저·제문·서(書) 등을 수록한 시문집. 1권 1책. 연활자본. 1910년 송종필(宋鍾弼)이 중간한 『구봉집(龜峯集)』 권11에 부재되어 있다. 시 32수, 잡저 12편, 제문 1편, 서(書) 1편, 잡설 8칙, 비문 1편, 송서(送序) 1편
운담집 / 雲潭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오세웅의 논·서(序)·기·행장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2책. 연활자본. 현손 상봉(相鳳)이 유고를 모아 편집한 것을 6대손 정원(廷源)이 이어서 간행하였다. 『운담집』에는 1892년에 쓴 이심전(李心傳)·정재면(鄭在勉)·정재명(鄭在明)·이방규(李邦奎
운대만고 / 雲臺漫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이동태의 시·서(書)·설·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16권 8책. 필사본. 『운대만고』 권두에 자서(自序)인 「만고소서 漫稿小序」의 내용으로 보아 저자 생존시에 직접 쓰여진 고본(稿本)으로 보인다. 권1∼8은 시 1,409수, 권9·10은 주(奏) 1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