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김명세 / 金明世 [역사/근대사]
미상-1920.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일제에게 국권을 빼앗기자 만주(滿洲)로 이주하였다. 독립운동을 위해 목숨을 바치기로 결심하고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에서 활동 중이던 독립운동단체에 가담하였다. 세린하(細鱗河)에서 조직 활동을 하던 중 일본군에게 체포되었
김명심 / 金明心 [역사/근대사]
1881-미상. 일제 강점기 의병·독립운동가. 본적은 충청북도 청주시(淸州市)이다. 일제에 의해 고종 황제가 퇴위를 당하고 강압적으로 군대가 해산되자, 해산된 군인들이 의병에 가담하면서 전국적으로 의병활동이 진행되었다. 1908년(융희 2) 평소 지니고 있던 반일의식
김명열 평산도호부사 해유문서 / 金命說 平山都護府使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김명열 평산도호부사 해유문서. 1669년(현종 10) 12월 26일 수황해도관찰사겸순찰사가 호조로 문서를 이관, 1670년(현종 11) 6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를 이관한 후에, 동년 6월 초5일에 이조에서 김명열(金命說)에게 조흘한 문서이다. 김명열은 홍원의 아
김명우 / 金明友 [역사/근대사]
1887-1951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경기도 화성군(華城郡) 장안면(長安面)이다. 1919년 이영쇠(李永釗)·장소진(張韶鎭)·장제덕(張濟悳)·차희식(車喜植)·차병한(車炳漢)·차병혁(車炳爀) 등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을 계획하였다. 2월 이순모(李順模) 등과
김명원 / 金命元 [종교·철학/유학]
1534(중종 29)∼1602(선조 35). 조선 중기의 문신. 김치세의 증손, 할아버지는 직제학 김천령, 아버지는 대사헌 김만균, 어머니는 순흥안씨로 현감 안준의의 딸이다. 이황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61년 식년 문과에 갑과로 급제해 평안병사·호조참판·전라감사·
김명제 / 金命濟 [역사/근대사]
1863-1926. 독립운동가. 경기도 화성 출신. 1919년 3월 26일부터 28일까지 홍면(洪) 등이 전개한 수원군 송산면 일대의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3월 26일부터 송산면 사강리의 면사무소에서 1백여 명의 주민과 함께 태극기를 게양하고 독립만세시위운동에 참
김명진 / 金命鎭 [역사/근대사]
1908-미상.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농민운동가. 본적은 경상북도 영주(榮州) 평은(平恩)이다. 1923년 영주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농업에 종사하며 영주청년동맹 평은지부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1932년 10월 경상북도 영주에서 적색농민조합재건투쟁준비위원회(赤色
김명희 / 金明熙 [역사/근대사]
미상-1921.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일제에게 국권을 빼앗기자 독립운동을 위해 목숨을 바치기로 결심하고 만주(滿洲)로 이주하였다. 그곳에서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에 가담한 후, 곽문(郭文)·김동삼(金東三)·김응섭(金應燮)·김형식(金衡植)·남정섭(南廷燮)·양규열(梁圭
김몽화 / 金夢華 [종교·철학/유학]
1723년(경종 3)∼1792년(정조 16).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김상주, 조부는 김형섭이다. 부친 김유수와 모친 이석망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형 김몽의가 있다. 청대 권상일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54년(영조 30) 증광시 생원 3등 37위로 합격, 1
김무분깃문기 / 金務分─文記 [경제·산업/경제]
1429년 12월 김무가 자녀에게 자신 소유의 노비를 상속한 문서. 분재기. 문서의 구성은 분재에 관한 서언(序言), 분재당사자의 서명, 자녀별 분재노비의 표시로 되어 있다. 서언에는 노비의 소전래(所傳來)·분배기준·유루(遺漏), 도망노비의 처리방법, 증조 사원(士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