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 문학 작품 총 1,95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문학 작품
두꺼비와 지네 [문학/구비문학]
두꺼비가 은혜를 갚기 위하여 지네에게 죽게 된 소녀를 살리고 대신 죽는다는 내용의 설화. 동물보은담 중의 하나로 ‘지네장터설화’ 또는 ‘오공장(蜈蚣場)터 설화’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것은 충청북도 청주의 지네장터에 근거한 유래담이며, 경기도 개성 서북쪽의 지네산[蜈蚣山
두꺼비의 나이자랑 [문학/구비문학]
동물들의 나이 자랑에서 두꺼비가 좌장(座長)을 차지한다는 내용의 설화. 동물우화의 하나로 지략담에 속한다. 문헌보다는 구전설화가 많다. 사슴·토끼·두꺼비가 모여서 서로 자기가 나이가 많다고 자랑하게 되었다. 사슴은 천지가 개벽할 때 자신이 그 일을 거들어 주었다 하고,
두껍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 필사본·활자본. 여러 가지 이본이 있으며, 두꺼비가 주인공이 된 고전소설들을 아울러 두껍전류라 할 수 있다. 삼광서림(三光書林)·박문서관(博文書館)·덕흥서림(德興書林) 등에서 활자본으로 나온 바 있다. 두껍전에는 첫째로 여러
두더지 혼인설화 [문학/구비문학]
한 두더지가 가장 훌륭한 사윗감을 구하러 다니다가 결국 같은 종(種)의 사위를 선택한다는 내용의 설화. 형식담 가운데 반복담에 속하며, ‘두더지사위고르기’라고도 한다. 동양권에서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상당히 널리 분포되어 있다. 인도의 경우는 『판차탄트라(Pancha
두류기행록 / 頭流記行錄 [문학/한문학]
1472년(성종 3)김종직(金宗直)이 지은 지리산 기행문. 1472년(성종 3) 김종직(金宗直)이 지은 지리산 기행문. 작자의 문집인 『점필재집(佔畢齋集)』 권2에 수록되어 있다. 원제(原題)는 ‘유두류록(遊頭流錄)’이다. 『동문선』의 속편 제21권에는 ‘두류기행록’으
둔갑한 쥐 [문학/구비문학]
사람으로 둔갑하여 주인 행세하는 쥐를 물리친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 중 변신담(變身譚)에 속하며, ‘진짜 주인과 가짜 주인’, ‘진가쟁주(眞假爭主)’ 등으로도 불린다.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집주인이 함부로 버린 손톱·발톱을 오랫동안 주워 먹은 쥐가 주인
등악양루탄관산융마 / 登岳陽樓歎關山戎馬 [문학/한문학]
1746년(영조 22) 신광수(申光洙)가 지은 한시. 칠언배율로 과체시(科體詩)의 하나이다. ‘관산융마’로 약칭된다. 작자 신광수는 34세 때에 한성시(漢城試)에서 2등에 뽑혔다. 그리고 자신의 시를, 창(唱)으로 불러 더욱 유명해졌다. 방이 나자 그의 시는 곧 널리
등윤주자화사 / 登潤州慈和寺 [문학/한문학]
신라 말기에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한시. 칠언율시. 『동문선(東文選)』에는 ‘등윤주자화사상방(登潤州慈和寺上房)’이라고 되어 있다. 작자의 문집 『고운문집(孤雲文集)』을 비롯하여 고려말 시선집인 『십초시(十鈔詩)』 등 대부분의 시선집에 빠짐없이 수록되어 있는 명시이다.
등통군정 / 登統軍亭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이안눌(李安訥)이 지은 한시. 용만(龍灣)의 통군정에 올라 지은 작품이다. 칠언율시로, 작자의 문집 『동악집(東岳集)』 권2 「조천록(朝天錄)」(1601)에 수록되어 있다. 그 중 이안눌의 「등통군정」이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꼽히고 있으며, 이것은 정철(
떡보와 사신 [문학/구비문학]
무식한 떡보가 중국 사신과의 수화 문답(手話問答)에서 우연히 승리하여 중국 사신을 물리쳤다는 내용의 설화. 소담(笑譚) 중 우행담(偶幸譚)에 속하며, ‘사신 간의 수문답(手問答)’·‘떡보 얘기’라고도 한다.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다. 중국의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