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김도숙 / 金道淑 [역사/근대사]

    1872(고종 9)-1943. 한말의 의병. 별명은 제헌(濟憲). 전라남도 나주 출신. 1907년 11월 의병장 심남일(沈南一)이 의병을 일으키자 휘하에 들어가 도통장(都統將)이 되었다. 1908년 전라남도 강진 오치동전투, 남평 장담원전투, 해남 성내전투 등에 참여하

  • 김도원 / 金道源 [역사/근대사]

    1895-1923.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무장독립단체인 대한독립보합단(大韓獨立普合團)에 들어간 후 군자금을 모으는데 힘썼다.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서울지방법원에서 사형을 언도받고 1923년 집행되었다.

  • 김도태 / 金道泰 [역사/근대사]

    1891-1956.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오산학교(五山學校)를 졸업하고 명신중학교(明新中學校)에서 교사로 재직하면서 3·1운동이 전국적으로 일어날 수 있었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경성여자상업학교의 교장과 조선지리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 김도행 / 金道行 [종교·철학/유학]

    1728년(영조 4)∼1812년(순조 12). 조선 후기 성리학자. 약봉 김극일의 후손, 부친은 김정탁, 모친은 이제태의 딸이다. 백부 김성탁 문하에서 수학하다가 백부가 광양에 유배되자, 종형 김낙행의 문하에서 수학하면서 경전과 사서를 두루 익혔다. 1765년(영조 4

  • 김도현 / 金道賢 [역사/근대사]

    1893-미상.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황해도 장연(長淵)이다. 1919년 장규섭(長奎燮) 등이 결성한 비밀 결사단체 대한적십자사청년단(大韓赤十字社靑年團)에 가담하였다. 이때 권총을 구입하여 일본 경찰 및 친일인사들을 처단하고, 임시 정부가 발행한 독립공채(

  • 김도현 / 金道鉉 [역사/근대사]

    1852(철종 3)-1914. 조선 후기의 의병장. 일제의 침략 의도가 드러나자 의병을 모아 함창·태봉·삼척 등지에서 일본군과 접전하였다. 을사늑약이 체결된 뒤에도 의병을 일으켰으나 결국 영해의 관어대(觀魚臺)에서 투신하였다. 저서로 <벽산선생창의전말>이 있다.

  • 김도화 / 金道和 [종교·철학/유학]

    1825년(순조25) ∼1912. 조선 후기의 학자·의병장. 안동군내 유림대표로 거의통문을 발표하였다. 1896년 의병장에 추대되어 안동관찰부를 점령하고 무기를 빼앗았다. 태봉전투에 참전하였다. 항의문과 규탄문을 통하여 일제에 항거하였다. 1983년 건국포장이 내려졌

  • 김돈희 / 金敦熙 [예술·체육/서예]

    항일기의 서예가(1871-1937). 자는 공숙(公叔). 호는 성당(惺堂). 서화협회(書畵協會)를 창립했던 일원으로 제4대 회장으로 추대되었고 조선미술전람회의 심사위원을 역임하였다. 안진경·황정견 풍의 해서에 뛰어났고 서예에 관련된 이론을 연구하기도 하였다.

  • 김동리 / 金東里 [문학/현대문학]

    1913년∼1995년. 일제 강점기 소설가·시인. 자는 시종(始鐘)이고, 호는 동리(東里)인데 호를 이름으로 사용하였다. 다른 이름으로 김창봉(金昌鳳)·김창귀(金昌貴)·김태창(金泰昌)이 있다. 본관은 선산(善山)이고, 출신지는 경상북도 경주(慶州)이다. 부친 김임수(

  • 김동삼 / 金東三 [역사/근대사]

    1878-1937.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호는 일송(一松). 1913년 여준·이상룡 등과 함께 부민단을 조직했으며, 1918년 지린성 왕칭현에서 서일·여준·유동열·김좌진 등 39명이 민족대표로 서명한 ‘무오독립선언서’를 발표했다. 1927년 김좌진·이청천 등과 함께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