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김덕준 / 金德俊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우리나라 최초의 국제 심판으로 국제심판 공로상을 받은 체육인. 함경남도 함흥출생. 6세 때 캐나다 선교사의 영향을 받아 축구를 시작하여 함흥 영생중학교 3학년 때 선수가 되었고 연희전문학교에서 활약하였다.축구계의 기인으로 불린 그는 남다른 집념과 열정으로 1
김덕진 / 金德鎭 [역사/근대사]
1864-1947. 항일기의 의병. 자는 경명(景明). 호는 낙계(樂溪). 민종식의 부대가 열세에 처하였을 때, 여러 의병들과 함께 재기를 도모하였다. 이때 일본군의 습격을 받아 공주경찰서에 투옥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복역 중 석방되었다. 사후, 1963년에 대통
김덕함묘 및 신도비 / 金德諴墓─神道碑 [예술·체육/서예]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에 있는 조선후기 학자 김덕함의 무덤.신도비. 시도기념물. 경기도 기념물 제144호. 조선시대의 학자 김덕함의 묘와 신도비이다. 묘역은 200여 평으로 정부인(貞夫人) 경주 이씨(慶州李氏)와 합장된 봉분 1기, 신·구 묘비 2기, 상석(床石) 1기,
김덕현 / 金德賢 [역사/근대사]
1880(고종 17)-1920. 독립운동가. 함경북도 회령 출신. 1910년 국권을 일본에 의해 빼앗기자 북만주 길림성 화룡현(吉林省和龍縣)으로 망명하여, 단군의 건국이념과 배일사상을 가르칠 목적으로 학성학교(學成學校)를 설립하고 교장으로 있으면서, 동포 자녀들에게 민
김도 / 金濤 [종교·철학/유학]
?∼1379(우왕 5). 고려 후기의 문신. 1370년(공민왕 19) 8월 박실·유백유 등과 함께 향공으로 뽑혀 정조사 권균을 따라 명나라에 갔다. 이듬해 급제해 동창부 구현의 승에 임명되었다. 1379년 그의 가노가 연경궁 옛터의 돌을 훔친 일로 이인임의 탄핵을 받아
김도곤 / 金道坤 [역사/근대사]
1890-1947.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다른 이름은 김가옥(金可玉)이다. 본적은 경상북도 청도(淸道)이다. 1919년 5월 7일 경상북도 에서 일본인으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당한 이종현을 보고 군중 300여 명을 모아 일본인 3명을 구타하는 등의 항일 운동을 전개
김도규 / 金道珪 [역사/근대사]
1885(고종 22)-1967. 한말의 의병장. 본관은 김해. 자는 인언(仁彦). 전라남도 보성 출신. 아버지는 형국(炯國)이다. 젊었을 때 병서를 즐겨 읽고 진을 치는 법을 익혔다. 1908년 2월 안규홍(安圭洪)이 보성 동소산(桐巢山)에서 의거하자, 그 의병진에
김도명 / 金道明 [종교·철학/유학]
1803년(순조3)∼1873년(고종10년).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김성로이며, 어머니는 의성김씨로 김한운의 딸이다. 처음에 유심춘의 문하에서 수업하였으며, 뒤에 유태좌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석학 이한응·이휘녕·유치명 등과 교유하였다. 권엽의 유문을 편집, 간
김도산 / 金陶山 [예술·체육/연극]
1891(고종 28)-1922. 연극인·영화인. 본명은 영근(永根). 서울 충무로 초동에서 태어나 상동(尙洞) 예배당 안에 있던 상동학교를 나왔으며, 일찍이 연극에 뜻을 두어 신극운동의 선구자인 이인직(李人稙) 밑에서 신극에 참여하였다. 이인직의 원각사(圓覺社)가 폐관
김도수 / 金道洙 [종교·철학/유학]
?∼1742(영조 18). 조선 후기의 문신. 음보로 공조정랑·지례현감·통천군수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춘주집』과『창선감의록』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