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김대진 / 金岱鎭 [종교·철학/유학]

    1800년(정조 24)∼1871년(고종 8). 조선 후기 학자. 부친은 김복수, 생부 미산 김창수와 모친 권형의 딸사이에서 2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 김진상이 있다. 김화와 김홍규의 문하에서 수학, 교유인물은 유치명·조언관·이만각·이수영 등이 있다. 1840년(

  • 김덕기임명문서 / 金德起任命文書 [정치·법제]

    1907년(광무 11) 6월 20일. 9품 종사랑 김덕기(金德起)를 소녕원 수봉관 판임관 5등에 서임하는 임명장. 소녕원은 숙종의 후궁이며 영조의 생모인 숙빈최씨의 묘소이다. 이문 서를 통해 대한제국기의 수봉관은 판임관 5등에 서임했음을 알 수 있다.

  • 김덕령설화 [문학/구비문학]

    조선 중기의 명장 김덕령에 관한 설화. 뛰어난 능력을 발휘해 보지도 못하고 억울하게 죽음을 당한 김덕령을 주인공으로 하는 인물전설이다. 문헌설화는 『연려실기술』·『동야휘집(東野彙輯)』·『풍암집화(楓巖輯話)』·『대동기문(大東奇聞)』 등에 전하며, 구전설화는 전국적으로 널

  • 김덕령장군의복 / 金德領將軍衣服 [생활/의생활]

    1965년 광주광역시 무등산에 있던 김덕령(金德齡:1567∼1596) 장군의 묘를 이장할 때 출토된 16세기 후기의 복식류. 1965년 7월에 광주광역시 무등산 이치(梨峙)에 있던 충장공(忠壯公) 김덕령(金德齡:1567∼1596) 장군의 묘를 이장할 때 16세기말 선조

  • 김덕목 / 金德穆 [역사/근대사]

    1913-1977. 독립운동가. 본관은 의성. 평안남도 용강 출신.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운영하던 인성소학교(仁成小學校) 및 상해 육청중학(育靑中學)을 졸업하였다. 그뒤 흥사단 단원으로 활약하였으며, 애국비밀단체인 동방구락부 간부로 중국학생항일구국회에 참가하여 항일의식

  • 김덕영 / 金德永 [역사/근대사]

    1887-1921.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경상북도 상주(尙州)이고, 독립운동 당시 주소는 황해도 재령(載寧)이다. 중국 상하이에 소재한 대한민국 임시 정부 자금 후원을 목적으로 조직된 임시군사준비단(臨時軍事準備團)에 가입하였다. 이후 군자금을 모으기 위해

  • 김덕운 / 金德運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7∼1767). 송애 김경여 증손, 조부는 김방신, 부친은 통덕랑 김중석이다. 7살에 어머니 함평이씨를 여의고 중부인 도정공 김창석의 밑에서 자랐다. 신임사화 때 사형 당한 윤지술이 1725년(영조 1)에 신원되어 이조판서에 추증되자, 모든 공

  • 김덕원묘 출토 의복 일괄 / 金德遠墓出土衣服一括 [생활/의생활]

    1972년 서울에 소재한 조선 후기의 문신 김덕원(金德遠)과 그의 부인 전주이씨의 합장묘에서 출토된 17세기 후반의 복식류 53점. 출토된 유물은 상복겉[常服表] 1점과 상복안[裏] 1점(단령 1점에 해당한다), 철릭 1점, 창의류 12점[창의 2점, 중치막 8점, 소

  • 김덕윤 / 金德潤 [역사/근대사]

    1919-2006.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함경남도 평양시(平壤市)이다. 평양의 숭인(崇仁) 상업학교에서 수학하였다. 1936년 6월 동학생 박윤옥(朴潤玉)·연광용(延光榕) 등과 함께 결의를 하고 항일결사단체 일맥회(一麥會)를 결성하였다. 이 모임을 통해 농

  • 김덕제 / 金德濟 [역사/근대사]

    생몰년 미상. 한말의 의병장. 1907년 8월 군대해산 당시 원주진위대(原州鎭衛隊) 정위로 8월 1일 서울 양시위대 항전의 소식을 전해 들은 진위대의 애국병사들은 봉기하려 하였으나 대대장인 참령 홍유형(洪裕馨)의 무마로 일시 중단되었다. 그러나 홍유형이 상경하자 특무정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