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김난상 / 金鸞祥 [종교·철학/유학]
1507(중종 2)∼1570(선조 3). 조선 중기의 문신. 좌참찬 김점의 현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영우, 아버지는 김현, 어머니는 전윤서의 딸이다. 1528년이황과 함께 사마시에 합격하고, 1537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검열을 지냈다. 대사성을 역임하였다. 영주
김난섭 / 金蘭燮 [역사/근대사]
1895(고종 32)-미상.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출신지는 황해도 은률(殷栗). 1920년 중국 간도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에서 독립운동 활동을 위한 군자금을 모금하였고, 친일파와 일본 고위관리 암살단인 이명서(李明瑞) 일행과 함께 활동하였다. 이후 대한민국 임시
김남수 / 金南洙 [역사/근대사]
1899(광무 3)-1945.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사회주의운동가. 호는 학산(鶴山)이다. 본적은 경상북도 안동군(安東郡) 예안면(禮安面)이고, 독립운동 당시 주소는 경성부(京城府: 현 서울) 종로구(鍾路區) 견지동(堅志洞)이다. 양반가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한학(
김남일 / 金南一 [종교·철학/유학]
1635년(인조 13)∼1696년(숙종 22). 조선 후기 관료. 김담의 7세손, 부친 김단의 3남 중 장남이다. 외조부는 권극해, 동생은 김해일·김태일이다. 부인은 김상유의 딸이다. 외조부 권극해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77년(숙종 3) 현릉참봉을 시작으로 내섬시
김남중 / 金南重 [종교·철학/유학]
1596(선조 29)∼1663(현종 4). 조선 중기의 문신. 김만균의 증손, 할아버지는 좌의정 김명원,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김수렴, 어머니는 성순의 딸이다. 1618년(광해군 10)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가주서가 되고 검열, 수찬, 교리, 대사성, 대사간, 대
김남천 / 金南天 [문학/현대문학]
1911년∼1953년. 소설가·문학비평가. 평안남도 성천(成川) 출생. 본명은 효식(孝植). 평양고등보통학교(平壤高等普通學校)를 졸업하고 일본에 유학, 동경의 호세이대학(法政大學)을 중퇴하였다. 1927년 카프(KAPF) 동경지부가 발행한 동인지 《제3전선 第三戰線》에
김내범 / 金迺範 [종교·철학/개신교]
1869(고종 6)-미상. 장로교 목사·독립운동가. 평안남도 평원(平原) 출생. 1907년 석암교회(石巖敎會)를 설립하는 등 강성엽(康成燁)과 더불어 평원군일대의 개척교인이었으며 1913년에 평양 장로회신학교를 졸업하고 그해 목사안수를 받은 뒤 만주 간도지역의 전도사업
김녕 / 金寧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김해 지역의 옛 지명. 김수로왕이 건국한 가야의 땅으로 532년(법흥왕 19) 신라의 땅이 되면서 가야군(伽倻郡, 또는 金官郡)으로 하였다. 680년(문무왕 20) 금관소경(金官小京)을 두었고, 757년(경덕왕 16) 김해소경으로 바꾸어 양주(良州)에 예속시켰
김녕굴 / 金寧窟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에 있는 용암동굴. 김녕굴과 만장굴은 하나의 화산 동굴계에 속하고 있었으나 후에 동굴 천장이 함몰되어 두 개의 동굴로 구분된 것으로,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에 해당한다. 동굴들의 총 연장은 15.798m이고, 김녕굴의 총길이는 705m이다
김노수 / 金魯洙 [종교·철학/유학]
1878년(고종 15)∼1956년. 일제강점기 한학자·역사학자. 하서 김인후의 후손, 부친은 김갑중이다. 3살 때에 고창군 고수로 이사, 만년에는 부안으로 옮겨 살았다. 연재 송병선의 문인, 경성제국대학도서관에서 한국사를 연구하였는데 성리학이 주전공이었다. 저서로는《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