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김기용 / 金基用 [역사/근대사]

    1883(고종 20)-1938. 독립운동가. 일명 명숙(明淑)·사보(士寶). 경상북도 영천 출신. 1928년 1월경 조선은행 대구지점에 폭탄을 던진 주동자 장진홍(張鎭弘)과 만나 영천경찰서 및 영천의 부호 이인석(李仁錫)에게 폭탄을 투척하기로 계획하고 투척연습을 하며

  • 김기주 / 金基周 [역사/근대사]

    1923-미상. 일제 강점기 광복군. 본적은 충청남도 대전(大田)이다. 1940년대에 일본 군대에 강제로 징집된 후 중국 하남성 형문현(荊門縣)에 주둔한 일본 군대에 배치되었으나, 조국을 위해 탈출을 감행하였다. 탈출 후 중국 중앙군으로 들어가 중앙군 유격대에 배속되

  • 김기진 / 金基鎭 [언론·출판/언론·방송]

    1903-1985. 일제 강점기 문인. 1922년부터 토월회 창립 동인으로 연극에 관심을 두기 시작하였다. 1923년 대학을 중퇴하고 귀국하여 등단한 뒤 문학동인지 《백조》에 가담하였다. 1924년부터 매일신보 사회부 기자로 활동하면서 사회주의적 문학 활동을 표방하기

  • 김기찬 / 金基纘 [종교·철학/유학]

    1809(순조9)∼?. 조선 후기의 문신. 김도징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성구이고, 아버지는 김주묵이며, 어머니는 이제현의 딸이다. 김용묵에게 입양되었다. 1835년(헌종 1)에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42년에 경상우도 암행어사로 활동하고 돌아온 후 지방

  • 김기창 / 金基昶 [예술·체육/회화]

    1913년 2월 18일∼2001년 1월 23일. 일제 강점기 예술가. 호는 운포(雲圃)·운보(雲甫). 본적은 서울 종로구 운니동, 출신지는 경성이다. 경성 승동보통학교를 졸업, 화가 김은호에게 미술교육을 받았다. 1940년 조선미술전람회 추천작가, 1942년 9월 제

  • 김기추 / 金基秋 [종교·철학/불교]

    1908-1985. 독립운동가·불교지도자. 본관은 김해. 호는 백봉(白峯). 부산 출생. 10세 때까지 제주도에서 자라다가 11세 때 부산으로 이주, 그곳에서 영도국민학교를 졸업하고 부산제이상업학교에 진학하였다. 이 학교에서 조선사를 교과목에 삽입시킬 것과 일본명으로

  • 김기태승급문서 / 金琦泰陞級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27일. 6품 승훈랑 김기태(金琦泰)를 정3품 통정대부로 가자하는 임명장. 수취인 김기태에 대한 인물정보는 상세하지 않다. 다만 순종황제가 일본 황제에게 한국 통치권을 양도하기 이전 많은 한국의 관료를 가자, 혹은 승급하였는데 이때 승급된 사

  • 김기하 / 金器夏 [종교·철학/유학]

    1649(인조 27)∼1701(숙종 27). 조선 후기의 문신. 성리학자 김인후 4세손으로, 아버지는 김형우, 어머니는 허열의 딸이다. 숙종 때의 명신이었던 김수항의 여러 자제들과 깊이 사귀었는데, 벼슬길에는 뜻이 없어 과거에는 응하지 않았으나 학행으로 추천받아 후릉참

  • 김기한 / 金起漢 [역사/근대사]

    1884-1921.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호는 직재(直齋). 일제에 대항하여 의병을 일으켰으며 만주로 망명한 뒤로 대한독립단을 조직하였다. 국내에 잠입하여 중앙본부를 결성하고 군자금을 확보하던 중 일본경찰에 체포되었고 감옥에서 순국하였다.

  • 김기헌 / 金基憲 [역사/근대사]

    1896-미상.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다른 이름은 김고주(金高洲)이다. 본적은 함경남도 고원군(高原郡)이다.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이었던 남촌동(南村洞) 소재 남감리교회 담임목사 정춘수(鄭春洙)는 3월 1일 만세운동을 벌인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정보 확인을 위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