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김교적개공신교서 / 金嶠敵愾功臣敎書 [역사/조선시대사]
1467년 무신 김교(1428~1480)를 적개공신 1등에 책록한 교서. 공신교서.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13호. 김교의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고경(高卿)이다. 판예빈시사 시로(時露)의 아들로 무과에 급제, 벼슬길에 오른 뒤 입사한 훈련원판관을 거쳐, 부호군이
김교창 / 金敎昌 [역사/근대사]
1889-1959. 독립운동가. 경기도 강화 출신. 1919년 3월 26일부터 3월 28일까지 홍면(洪) 등이 전개한 수원군 송산면일대의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3월 26일부터 송산면 사강리의 면사무소에 태극기를 게양하고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이날 송산면 뒷산
김교필 / 金敎弼 [역사/근대사]
1867-1944.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자는 만산(萬山)이고, 호는 화암(化菴)이다.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전라북도 임실군(任實郡) 운암면(雲岩面) 화암리(化菴里) 출신이다. 아버지는 김학원(金學遠)이며 김덕원(金德遠)으로도 불리었다. 1894년(고종 31) 갑
김교헌 / 金敎獻 [역사/근대사]
1868-1923. 항일기의 독립운동가·대종교인. 자는 백유(伯猷). 호는 무원(茂園)·보화(普和). 1885년 정시문과에 급제한 뒤 예조참의·성균관대사성 등을 역임하면서 독립협회에 가입하여 대중계몽운동을 벌였다. 나철(羅喆)의 뒤를 이어 대종교의 제2대 교주에 취임
김교헌승급문서 / 金敎獻陞級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25일. 규장각부제학 김교헌(金敎獻)을 종2품 가선대부에 특승하는 임명장. 경술국치 4일 전의 문서이다. 김교헌은 독립운동가이자 대종교 제2대 교주로 활동한 인물이다.
김교훈 / 金敎勳 [역사/근대사]
1880-1934. 일제 강점기 의병·독립운동가. 다른 이름은 김학로(金學老)·김훈(金勳)이다. 본적은 충청남도 대전(大田)이다. 1907년(융희 1) 일제에 의해 군대가 해산되자 의병에 가담하여 활동하였다. 강원도와 충청남도 일대에서 활동하다가 일본 군대에게 체포되
김구 / 金九 [역사/근대사]
1876-1949. 항일기의 독립운동가·정치가. 1919년 상해로 망명 임시정부 초대 경무국장이 되었다. 1939년 임시정부 주석에 취임하였고, 이듬해 광복군을 조직하여 군사훈련을 지휘하였다. 1945년 11월 환국하여 신탁통치 반대운동을 펼쳤다. 1948년 남한의
김구 / 金構 [종교·철학/유학]
1649(인조 27)∼1704(숙종 30). 조선 후기의 문신. 김인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극형, 아버지는 관찰사 김징, 어머니는 참봉 이의길의 딸이다. 1682년(숙종 8) 춘당대 문과에 장원해, 전적과 각 조의 낭관을 거쳤다. 형조판서, 우의정을 역임하였다.『육
김구 / 金絿 [종교·철학/유학]
1488(성종 19)∼1534(중종 29). 조선 중기의 문신·서예가. 의몽 증손, 할아버지는 사예, 아버지는 대흥현감 계문, 어머니는 이겸인의 딸이다. 이조좌랑, 정랑, 사간, 홍문관직제학, 동부승지, 좌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자암집≫, 유품으로는 ≪자암
김구 암살사건 / 金九暗殺事件 [정치·법제/정치]
1949년 6월 26일 한국독립당 당수 김구가 육군포병소위 안두희에게 권총으로 살해된 사건. 1949년 6월 26일 오전 11시 30분경 육군정복 차림의 안두희는 김구가 거처하던 경교장을 방문하여 면회를 요청, 김구를 만나자 권총을 쏘아 살해했다. 안두희는 현장에서 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