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교육 총 1,00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교육
산학 / 算學 [교육/교육]
고려시대 국자감에 편제된 경사육학의 하나. 취학자의 신분에 따른 학과선택으로 8품 이상의 자제와 서인이 입학, 7품 이상으로서 원하는 자도 들어올 수 있었다. 설치 초기는 박사와 조교를 두어 교수에 임하였으며, 문종 때 직제를 고쳐 종9품의 산학박사 2인을 두어 산술
삼가향교 / 三嘉鄕校 [교육/교육]
경상남도 합천군 삼가면 소오리에 있는 향교. 조선 세종 때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520년(중종 15) 명륜당을 보수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12년(광해군 4)에 중건되었다. 1826년정우용(鄭友容)이
삼계서원 / 三溪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삼계리에 있는 서원. 1588년(선조 21) 지방유림의 공의로 권벌(權橃)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0년(현종 1) ‘三溪(삼계)’라고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 그 뒤 대원군의 서원
삼등향교 / 三登鄕校 [교육/교육]
평안남도(현재의 평양특별시) 강동군 삼등면 봉의리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당시의 경내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신문(神門)·홍살문 등이 있었으며, 대성전에는 5성(五聖)
삼례업 / 三禮業 [교육/교육]
고려시대 과거 가운데 잡업의 한 과. 시험방법은 첩경과 독경으로 치렀는데 ≪예기≫를 대경, ≪주례≫와 ≪의례 ≫를 소경으로 삼았다. 1136년(인종 14)에 제정된 학식에 빠진 것으로 보아 그에 앞서 폐지된 듯하다. 삼례업도 잡업의 다른 업과 같이 국자감시가 있어 일
삼명서원 / 三明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마현리에 있는 서원. 1553년(명종 8)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술(李述)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854년에 중수하였으며, 1868년(고종 5)경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47개 서원을 제외한 전국의 모든 서원
삼봉서원 / 三峯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신암리에 있었던 서원. 1654년(효종 5)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이음(金爾音)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14년(숙종 40) 김개국(金盖國)·김륭(金隆) 등을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
삼수향교 / 三水鄕校 [교육/교육]
함경남도(현재의 양강도) 삼수군 관흥면 삼덕리에 있었던 향교. 조선 전기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처음은 갑산향교(甲山鄕校)와 함께 객관 서쪽에 창건되었다가 임진왜란 뒤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
삼전업 / 三傳業 [교육/교육]
고려시대 과거 가운데 잡업의 한 과. 시험과목은 춘추삼전이 출제되었으며, ≪좌전≫을 대경으로, ≪공양전≫·≪곡량전 ≫을 소경으로 삼았다. 인종 때 제정된 학식에 빠진 것으로 보아 그에 앞서 폐지된 듯하나, ≪고려사≫ 선거지에는 극소수의 급제자가 수록되어 있다.
삼척향교 / 三陟鄕校 [교육/교육]
강원도 삼척시 교동에 있는 향교. 1398년(태조 7)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1407년(태종 7) 옥서동월계곡(月桂谷)으로 이건하였다가 1468년(세조 14)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