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김강사와 티교수 / 金講師─敎授 [문학/현대문학]

    유진오(兪鎭午)가 지은 단편소설. 1935년 『신동아(新東亞)』 1월호에 발표되었다. 일제강점기의 나약한 지식인상을 다룬 드문 작품이다. 이 작품은 작자가 경성제국대학 예과 강사시절의 체험을 근거로 하여, 지식인들 사이에 벌어지고 있는 일을 소재로 하고 있어서 당시 지

  • 김강한 / 金江漢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은사(1719∼1779). 김성탁이 호남의 광양에서 귀양살이할 때 그곳에 따라가서《대학》·《중용》·《서명》·《주자행장》 등을 공부하였다. 김성탁의 문하에 들어간 지 9년 만에 스승이 죽자, 그 아들 구사당 김낙행의 문하에서 배웠다. 평생 동안 성리를 멀리

  • 김개국 / 金蓋國 [종교·철학/유학]

    1548(명종 3)∼1603(선조 36). 조선 중기의 문신. 세형의 증손, 할아버지는 복흥, 아버지는 몽득, 어머니는 이극온의 딸이다. 1573년에 사마시에 합격, 생원이 되고 1591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뒤에 집의가 추증되었고, 1643년(인조 21)

  • 김개남 / 金開南 [종교·철학]

    1853년(철종 4)∼1895년(고종 32). 동학의 태인대접주. 1891년 두령, 즉 접주가 되었다. 이해 처음으로 이곳에 순회 온 동학의 제2세교조 최시형을 만나 직접 가르침을 받았다. 1894년에 때마침 전봉준이 선봉에 나서서 고부민란을 일으키자, 손화중과 함께

  • 김거사집 / 金居士集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의 문인 김극기(金克己)의 문집. 135권이나 되는 방대한 양이었으나 일실(逸失)되었다. 이인로(李仁老)가 쓴 서문만이 『동문선』 권83에 전한다. 책의 이름은 『동문선』을 비롯한 『역옹패설 櫟翁稗說』·『용재총화 慵齋叢話』 등에서는 ‘김거사집’으로 지칭하고 있

  • 김거웅 / 金巨雄 [예술·체육/서예]

    고려전기 거돈사지의 「거돈사원공국사승묘탑비문」을 쓴 서예가. 1025년(현종 16)에 건립되었고 현재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거돈사지에 있는 「거돈사원공국사승묘탑비(居頓寺圓空國師勝妙塔碑)」(보물 제78호)를 썼다. 그밖에 그의 가계나 행적을 전하는 기록이 없는 실정이다.

  • 김건 / 金健 [예술·체육/연극]

    1912-미상. 극작가. 본명 창기(昌基). 서울 출생. 개성에서 중등교육을 받고 도일, 동경(東京)에서 연극수업을 했다. 귀국 후인 1930년대 중반부터 주로 상업극단을 상대로 희곡을 쓰기 시작하여, 〈섬색시〉(1935.7.)를 시발로 〈거리의 등불〉·〈쌍동이 행진곡

  • 김건배특증문서 / 金健培特贈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25일. 학생 고 김건배(金健培)를 정3품 통훈대부 규장각직각에 특증하는 임명장. 경술국치 4일 전의 문서이다. 김건배는 벼슬을 하지 않고 죽은 사람으로 인물정보가 상세하지 않다.

  • 김건수 / 金健壽 [종교·철학/유학]

    1804년(순조 4)∼1866년(고종 3). 조선 후기 성리학자. 학봉 김성일의 후손, 부친은 김백찬이다. 부인은 전주유씨이다. 정재 유치명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837년(헌종 3) 식년시 진사 3등 67위로 합격하였다. 1847년(헌종 13)에 스승 유치명과 함

  • 김경남 / 金景南 [예술·체육/국악]

    생몰년 미상. 거문고 삼절(三絶)의 한 사람. 한말 거문고의 대가인 김경남·함재운(咸在韻)·이병문(李炳文)을 거문고 삼절이라 하였는데, 그 가운데 김경남은 가곡반주, 함재운은 〈여민락 與民樂〉, 이병문은 〈영산회상 靈山會相〉에 뛰어났다. 그의 유보(遺譜)인 《금보 琴譜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