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이근택임중추원의장고명 / 李根澤任中樞院議長誥命 [정치·법제]
1906년(광무 10) 11월 17일. 고종이 이근택(李根澤)을 중추원 의장으로 임명하는 고신. 군부대신이었던 이근택을 중추원 의장으로 임명하였으며, 중추원부의장 이근상(李根湘)을 궁내부 특진관으로 임명하여 칙임관 1등을 하였다.1910년 경술국치에 협조하여 일본으로
이근필 / 李根弼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6∼1882). 현서의 아들이다. 1852년(철종 3)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의가 되었다. 1872년에는 동지부사로, 1873년에는 진하 겸 사은정사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조참판·형조판서·사헌부대사헌·예조판서·예문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이급 / 李級 [종교·철학/유학]
1721년(경종 1)∼1790년(정조 14).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이해 7대손, 증조는 이빈한, 조부는 이재광, 부친은 이민정이다. 1753년(영조 29) 식년시 병과 3위로 문과 급제한 뒤, 관직은 사변가주서·전적·병조좌랑·지평·정언·장령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
이긍익 / 李肯翊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36∼1806). 이이·김장생·송시열 등 서인계열의 사상에 영향을 많이 받았고, 정제두를 중심으로 한 양명학파에 속했으며, 실학을 연구한 고증학파 학자였다. 글씨에도 뛰어났으며, 저서로는《연려실기술》이 있다.
이기발 / 李起浡 [종교·철학/유학]
1602년(선조 35)∼1662년(현종 3). 조선 중기 문신. 증조부는 이치, 조부는 이준철, 부친은 이극함이다. 모친은 최준극의 딸, 부인은 박동진의 딸이다. 형은 이흥발, 동생은 이생발이다. 형 이흥발, 동생 이생발과 함께 석계 최명룡의 문인이 되어 학문을 닦았다
이기숭 / 李基崧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4∼1776). 부친은 이지한, 조부는 이광세, 증조부는 이수인, 외조부는 홍순보이다. 1771년(영조 47)에 28세의 나이로 급제한 후 관직은 홍문관수찬에 이르렀다.
이기연 / 李紀淵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83∼?). 할아버지는 이명중, 아버지는 이의열, 어머니는 홍억의 딸이다. 우의정 이지연 아우이다. 1805년(순조 5)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대사성·대사간·우승지·공조판서·우참찬 등을 거쳤다. 1836년 공무를 폐기한 죄로 삭직되었으나, 이듬해
이기중 / 李箕重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7∼1761). 1717년(숙종 43) 사마시에 합격하여, 사헌부감찰·형조좌랑·장악원주부 등을 거쳤다. 이후 공조정랑·김제군수·단양군수·인천부사·담양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경종의 생모인 희빈 장씨에 대한 평과 관련하여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이기진 / 李箕鎭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7∼1755). 권상하의 문인으로 헌납 때 유봉휘의 처벌을 주장하다 신임사회 때 파직됐다. 영조 때 시독관으로 소론의 치죄를 청하고, 왕세자 관례 때 봉전문을 빠뜨려 파직 후 낙향하였다. 이인좌의 반란 때 대사성으로 등용되어 이후 대사간·이판
이기홍 / 李箕洪 [종교·철학/유학]
1641(인조 19)∼1708(숙종 34).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숙, 어머니는 송현의 딸이다. 이지렴·송시열의 문인이다. 1687년(숙종 13)에 학행으로 효릉참봉에 천거, 임용되었다. 통천현감, 청풍부사, 장령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자성편』·『직재집』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