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 단행본 총 1,38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단행본
금산사사적 / 金山寺事蹟 [종교·철학/불교]
조선시대 승려 해안이 김제 금산사의 창건과 중수에 관한 내력을 수록하여 1635년에 간행한 사적기. 1권 1책. 필사본. 금산사의 창건 및 중수에 관한 종합적 기록으로서, 백제 때부터 진표(眞表)의 중건내역 및 고려·조선시대의 역대 명승들에 관해서 상세히 언급하고 있
금석과안록 / 金石過眼錄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실학자 김정희가 진흥왕순수비 가운데 황초령비와 북한산비의 두 비문을 판독·고증한 고증서. 1책. 필사본. 『완당선생전집 阮堂先生全集』 권1에 실려 있는 「진흥왕이비고 眞興王二碑考」에서 제시된 견해를 자세한 고증을 통해 대폭 수정하였다. 끝에는 친구 조인영(趙寅
금성읍지 / 金城邑誌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금성(현 김화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지방지. 1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내용구성은 강계(疆界)·방리(坊里)·도로·건치(建置)·군명·형승(形勝)·성지(城池)·관직·산천·성씨·풍속·능침·단묘(壇廟)·공해(公廨)·제언(堤堰)·창고·물산
금성정의록 / 錦城正義錄 [역사/근대사]
대한제국기 이병수가 전라도 나주지방 유생들의 창의 사실을 기록한 의병록. 목활자본. 1896년 1월부터 같은 해 3월초까지 유생들을 중심으로 일어 난 의병 봉기에서 해산까지를 날짜순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다른 지역의 의진과 주고받은 통문·창의문·제문·소 등도 수록하고
금송계좌목 / 禁松契座目 [경제·산업/산업]
1838년(헌종 4)으로 추정되는 무술년(戊戌年)에 엮은 금송계에 관한 좌목. 16장 1책. 소고니면 가좌동(所古尼面可左洞:지금의 경기도 이천군 大月面 可左里)의 마을 사람들이 금송계를 조직하고 그 결성 동기·내규(內規) 등을 엮은 좌목이다. 이 책은 계원인 최병옥(崔
금쇄동집고 / 金鎖洞集古 [문학/고전시가]
조선 인조 때 윤선도(尹善道)가 자신이 지은 시조와 한시를 모아 친필로 엮은 가첩(歌牒). 단권. 국한문필사본. 이 가첩에는 <증반금 贈伴琴>·<추야조 秋夜操>·<춘효음 春曉吟> 등 시조 3수와 기타 한시(집고시)를 수록하고 있다. 시조의 경우 작품의 제작연대가 밝혀져
금아시문선 / 琴兒詩文選 [문학/현대문학]
피천득(皮千得)의 시문집. 시부 Ⅰ에는 「꿈 1·2」·「축복」·「편지」·「단풍」·「달무리지면」·「산야 山夜」 등 18편, Ⅱ에는 「어린 벗에게」·「어린 시절」·「아가의 슬픔」·「어떤 아가의 근심」·「가훈」 등 14편, Ⅲ에는 「사랑」 1편, Ⅳ에는 「생명」·「원족」·「
금암집 / 琴岩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송몽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16년에 간행한 시문집. 1권 1책. 목판본. 1616년(광해군 8) 아들 국택(國澤)이 편집, 저자의 외숙인 이수광(李睟光)의 교열을 거쳐 간행하였고, 1890년(고종 27)에 후손 병준(炳焌)이 증보하여 중간하였다.
금양잡록 / 衿陽雜綠 [경제·산업/산업]
조선 전기의 문신 강희맹(姜希孟)이 네 계절의 농사와 농작물에 대한 필요사항을 기술한 농서(農書). 저자가 52세에 좌찬성에서 물러나 그의 빙부가 남긴 경기도 금양현(衿陽縣: 지금의 경기도 시흥시·광명시와 서울특별시 금천구 지역)에 있는 묘막에 은거하여 손수 농사를 지
금오신화 / 金鰲新話 [문학/한문학]
조선 초기에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집. 일반적으로 우리 나라 최초의 소설로 인정되고 있다. 완본은 전하지 않으며, 현재 전하는 것으로는 <만복사저포기 萬福寺樗蒲記>·<이생규장전 李生窺牆傳>·<취유부벽정기 醉遊浮碧亭記>·<남염부주지 南炎浮洲志>·<용궁부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