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기장군읍지 / 機張郡邑誌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 기장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표지에는 ‘慶尙南道機張郡邑誌(경상남도기장군읍지)’로 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군명·관직·성씨·산천·풍속·방리(坊里)·호구
기장읍성 / 機張邑城 [예술·체육/건축]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있는 조선시대 석축 성곽.읍성. 시도기념물.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0호. 석축으로 둘레 약 1km, 높이 약 4m 정도가 남아 있으며 동·서·남·북 4문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의 형태는 평산성으로 북쪽은 낮은 동산을 끼고 있고 남쪽은 평지
기장이길봉수대 / 機張爾吉烽燧臺 [경제·산업/교통]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효암리에 있는 봉수대. 부산광역시 기념물 38호.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봉수대이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보면, 울산군에는 봉화가 여덟 곳 있는데, 이길봉화는 북쪽으로는 하산봉화, 남쪽으로는 아이포봉화와 연락한다고 하였다. 『경상도속찬지리지』에
기장죽성리성 / 機張竹城里城 [예술·체육/건축]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에 있는 조선후기 왜군이 축조한 성곽.시도기념물.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8호. 둘레 약 960m. 면적 38,253㎡. 현재 성문과 해자(垓字) 등의 시설이 남아 있다. 이 성은 1593년(선조 26) 서울에서 후퇴한 왜군이 서생포(西生浦)에서
기장척화비 / 機張斥和碑 [역사/근대사]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에 있는 비석.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 292호. 1995년 3월 1일 이 곳이 부산광역시로 편입되면서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1호로 지정되었다. 흥선대원군 정권은 자신들의 쇄국 의지를 모든 국민에게 알리고 경각심을 강화할 목적으로 전국의
기장향교 / 機張鄕校 [교육/교육]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차성로(교리)에 있는 향교. 1440년(세종 22)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 및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에 소실되었다가 1617년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복원하였으며, 1974년에 대성전을 보수
기재기이 / 企齋記異 [문학/한문학]
1553년(명종 8) 신광한(申光漢)이 지은 한문단편소설집. 양본 모두 <안빙몽유록 安憑夢遊錄>·<서재야회록 書齋夜會錄>·<최생우진기 崔生遇眞記>·<하생기우록 何生奇遇錄>의 네편을 차례로 수록하고 있다. <서재야회록>·<안빙몽유록>·<최생우진기> 세 편은 규장각도서 ≪
기재유고 / 棋齋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원상진의 시·서(序)·제문·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1책. 필사본. 권두에 김진세(金鎭世)의 서문이 있다. 영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시 227수, 제문 4편, 서(序) 5편, 잡저 7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뒷부분에는 아들의 유고인 『채은유고(菜
기재집 / 企齋集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문신 신광한(申光漢)의 시문집. 24권 10책. 목판본. 간기(刊記)가 없어 그 간행경위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시집이 12권, 제문·행장·만장이 2권, 문집 3권과 별집 7권의 순으로 되어 있다. 권1에 부(賦) 15수, 권2∼권9에 시, 권10에 부
기저귀 [생활/의생활]
젖먹이 어린아이나 병자의 대소변을 받아내기 위하여 샅에 채우는 헝겊. 옛날에는 무명을 빨아서 부드럽게 하여 사용하였으며, 요즈음에는 주로 소창을 이용한다. 어려서는 얇게 접어 궁둥이 밑에서 다리 사이로 돌려 배까지 올라오게 하고, 허리 밑에서 끈으로 매어 고정시키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