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기성복 / 旣成服 [생활/의생활]

    표준화된 치수와 일정 디자인을 가지고 공장에서 대량 생산으로 제품화된 의복류의 총칭. 소비자가 필요할 때 곧 사서 입을 수 있고, 대량 생산에 의해 기획된 상품이므로 값이 저렴하나, 획일적인 형태이므로 선택 범위가 좁다는 점과 다량 생산으로 인하여 섬세한 부분에 대한

  • 기성전도 / 箕城全圖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평양성 일대를 회화식으로 그린 지도. 연대와 작자는 미상이다. 축 형식의 채색필사본으로 지도의 크기는 세로 167㎝, 가로 96㎝이다. 지도에 묘사된 평양성은 을밀대, 현무문, 모란봉, 부벽루를 연결하는 북성(北城)과 만수대, 주작문, 대동문 을 연결하는 내성

  • 기성지 / 箕城誌 [지리/인문지리]

    1926년 정내근이 전라남도 함평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지방지. 4권 2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권두에 오광은(吳光殷)의 서문과 정방현(鄭邦鉉)의 후서(後序), 그리고 함평군수였던 박준승(朴準承)의 구서(舊序)와 범례가 첨부되어 있다. 규

  • 기세배 / 旗歲拜 [생활/민속]

    형제의 서열을 맺은 마을 사이에 아우되는 마을이 형되는 마을에 농기(農旗)로 신년의 세배를 올리는 민속놀이. 주로 정월대보름에 행해지며 전라북도에 분포되어 있다. 익산시 금마면과 함열읍, 김제시 금구면, 정읍시 태인면, 옥구군 등에서 행해졌는데, 현재 금마면과 함열읍

  • 기세탄 / 饑歲歎 [문학/고전시가]

    1642년(인조 20)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연작시조 「산중신곡(山中新曲)」18수 중의 하나로. 『고산유고(孤山遺稿)』 권6에 전한다. 환자(還子)주 01)를 타서 먹고 사는 궁핍한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형식은 3·4·3·5/3·4·4·4/3·6·3·4

  • 기술관 / 技術官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 시대의 전문기능직 관원. 잡학이라고 불린 기술학에 종사하는 관직자들을 총칭하였는데, 역관·의관·천문관·지관·산관·율관·화원·도류·금루·악생·악공·상도·지도·화사·공제·공조·재부·선부 등이 있었다.

  • 기술사 / 技術士 [사회/사회구조]

    해당 기술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하여, 계획·연구·설계·분석·시험·시공·평가 및 이에 관한 지도·감독 등의 기술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법적인 자격이 있는 사람. 우리 나라에서는 위와 같은 능력의 유무를 검정하기 위하여 국가기술자격시험제도를 두고 있

  • 기슈가 / 淇水歌 [문학/고전시가]

    1867년 파평 윤씨 가문의 하당댁이 지은 규방가사. 4음보 1행의 가사체를 기준으로 148행이고, 서사(24행)·본사(112행)·결사(12행) 3단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규방가사 『기수가(淇水歌)』는 「기수가(淇水歌)」 「답기수가(答淇水歌)」 「해조가(諧嘲歌)」

  • 기신론내의약탐기 / 起信論內義略探記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태현이 『대승기신론』의 주요 내용을 해설하여 1261년에 간행한 불교서. 『기신론고적기(起信論古迹記)』라고도 한다. 이 책은 대의(大意)와 탐의(探義)의 2부로 구성되어 있다. ‘대의’에서는 『기신론』을 지은 내력을 밝히고, ‘탐의’는 『기신

  • 기신론문답 / 起信論問答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승장이 『대승기신론』을 해석한 불교서. 불교주석서. 승장은 7세기 후반에서 8세기 중반에 걸쳐 생존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신라의 승려다. 원측(圓測)의 제자로서 유식학을 깊이 연구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승장의 출생과 행적 등을 거의 알 수가 없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