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감대청절목 / 感戴廳節目 [역사/근대사]

    1865년 이학주가 왕명으로 기록한 감대청의 규식을 적은 법제서. 1권 1책. 원사본. 내용은 신차(新差) 규제건으로 8장사(八壯士) 자손 외에 선전관(宣傳官)을 거치지 않은 자를 본청의 행수(行首)로 임명하지 말 것과, 물품 청구권으로 점심이나 세찬(歲饌)에 쓸 쌀을

  • 감독 / 監督 [예술·체육]

    일 또는 사람이 잘못되지 않도록 살피어 단속하거나 그렇게 하는 사람. 관리적기능으로서는 중간에 위치하는 것으로써 상위, 하위에 있는 사람들과의 의사소통을 추진하고 종사자의 활동환경의 개선을 도모한다. 교육적기능으로서는, 현임종사자(現任從事者)와 학생의 기본적원조자세의

  • 감독 / 監督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궁내부의 관직. 칙임관급에 해당된다. 궁내부 산하 기관인 수륜원, 수민원, 철도원, 서북철도국, 광학국, 내장원, 비원 등에 설치되었다.

  • 감동관 / 監董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국가의 토목공사나 서적간행 등 특별한 사업을 감독, 관리하기 위해 임시로 임명된 관원.

  • 감두탕 / 甘豆湯 [과학/의약학]

    약물 또는 중금속의 독을 푸는데 사용하는 처방. 모든 약물의 해독제로서 비상(砒霜)·파두(巴豆)·부자(附子)·초오(草烏) 및 중금속의 독을 푸는 구급약으로 응용되고, 때로는 당뇨병에 이용하기도 한다. 이 처방은 중국의 『신농본초경』에서 첫 기록을 보이며, 우리나라의 기

  • 감란록 / 勘亂錄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 송인명·박사수가 1728년 무신란(이인좌의 난)의 전말에 관한 자료를 발췌하여 1729년에 간행한 역사서. 6권 4책. 고활자본. 영조는 난이 평정된 뒤 정석삼(鄭錫三)·이광좌(李光佐)·조문명(趙文命) 등의 주장에 따라 좌의정 조태억(趙泰億)에게 명하여

  • 감로왕도 / 甘露王圖 [예술·체육/회화]

    조선 말기(19세기 후반)의 불화.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60㎝, 가로 187㎝. 삼성출판박물관 소장. 감로탱은 수륙재(水陸齋)·우란분재(盂蘭盆齋)·사십구재(四十九齋) 등 영혼천도재에 사용되는 하단(下壇) 탱화이다. 화면 구성은 주로 상·중·하단으로 이루어졌다.

  • 감로재유고 / 感露齋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조광국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9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석인본. 1939년 그의 7대손 윤현(允鉉)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윤현의 소지(小識)가 있다. 후손인 조용근(曺龍根)이 소장하고 있다.권1에 시 38수, 권2에

  • 감로탱화 / 甘露幀畵 [예술·체육/회화]

    조선시대 후기의 감로왕도. 보물 제1239호. 1681년작. 이 그림은 죽은 자가 지옥에서 벗어나 극락왕생할 것을 빌기 위해 만들어진 감로탱화로서, 상단·중단·하단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조선후기 감로도의 양식을 보여준다. 상단에는 청록으로 채색된 산수를 배경으로 하여 중

  • 감류안 / 監留案 [정치·법제]

    관찰사와 유수(留守)가 설치된 지역을 수록한 관안. 절첩 형식, 주색첨지로 표기하였다. 표지 서명에 '장서각인'이 날인되어 있다. 관찰사와 유수 순서로 기록되었으며, 경기 지역명 하단에는 민영소(閔泳韶), 전라 지역명 하단에는 김규복(金圭復)을 붉은색 첨지에 기록하였다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