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 비홍치 / 飛鴻峙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과 대강면 사이에 있는 고개. 높이 260m. 이 고개는 남원시 대산면과 순창군 동계면, 그리고 주생면과 대강면의 경계를 이루는 노적봉(露積峰)·풍악산(楓岳山)·응봉(鷹峰)·문덕봉(文德峰)을 연결하는 평균높이 400m 내지 500m의 분수령을 통과

  • 빙도 / 氷島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보령시 천북면 낙동리에 있는 섬. 동경 126°33′, 북위 36°28′에 위치한다. 보령호에 있는 섬으로 남쪽의 오천면 교성리와 연륙교로 연결되어 있다. 행정구역은 천북면에 속하지만, 실질적인 생활권은 오천면이다. 면적은 0.75㎢이고, 해안선 길이는 4㎞이

  • 사덕산 / 寺德山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강계군 종남면과 후창군 남신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355m. 우리나라 북부지방을 동서로 양분하는 낭림산맥의 북쪽 끝머리에 위치하며, 이 산에서 서남쪽으로 강남산맥이 갈라져 뻗고 있다. 산세가 매우 험준하나 웅대하고, 그 식물상도 풍부하며 이른바 한대침엽

  • 사라오름 / 사라오름 [지리/자연지리]

    제주 서귀포시 남원읍 신례리(한라산)에 위치한 명승. 사라오름은 한라산 정상에서 동북쪽으로 뻗어 내린 사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성판악 등산로로 접근이 가능하다. 오름의 정상부는 분화구를 형성하고 있으며, 분화구 내에는 둘레 약 250m 크기의 호수에 물이 고여 습원을

  • 사명산 / 四明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과 화천군 간동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198m. 태백산맥의 줄기인 내지산맥(內地山脈)에 속하는 산으로 서남쪽에 죽엽산(竹葉山, 859m), 동남쪽에 봉화산(烽火山, 875m) 등이 솟아 있다. 동쪽 사면에는 양구읍 동수리·정림리·안대리·학조리

  • 사미천 / 沙尾川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장단군(지금의 개성직할시 장풍군)의 자라봉(624m) 동쪽 기슭에서 발원하여 경기도 연천군의 임진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길이 54㎞, 유역넓이 413.5㎢. 유역에는 중부 고생대의 자갈암·천매암·점판암 등이 분포되어 있으며, 하천에는 두무천·월고천·와룡천 등을

  • 사수산 / 泗水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정평군 고산면과 영흥군 선흥면 및 평안남도 영원군 금성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747m. 낭림산맥의 남단에 있는 산으로 북쪽의 백산(白山, 1,837m)과 향로봉(香爐峰, 1,600m)을 연결하는 능선과 서쪽의 모도령(毛都嶺, 1,415m)에 이어지는 능

  • 사양도 / 泗洋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사양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222명(남 106명, 여 114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118세대이다. 취락은 선착장이 있는 북쪽과 동쪽 해안 일대에 집중되어 있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03㎢, 밭 0.38㎢, 임야

  • 사옥도 / 沙玉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지도읍 당촌리와 탄동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618명(남 321명, 여 297명)이며, 세대수는 296세대이다. 주요 마을은 당촌·묘동·탄동·원달·하탑 등이 있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1.92㎞, 밭 2.42㎞, 임야 5.07㎞이다.

  • 사자산 / 獅子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과 평창군 방림면 및 횡성군 안흥면에 걸쳐 있는 산. 이곳에는 신라 시대에 자장율사(慈藏律師)가 창건하였다는 흥녕사(興寧寺)가 있었다. 이 절은 신라 때 심산유곡에 둔 구산선문(九山禪門) 중의 하나로서 이른바 사자산파(獅子山派)의 중심이었다. 이는

페이지 / 9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