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유적 > 유적(일반) 총 1,69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유적 > 유적(일반)
광주충효동요지 / 光州忠孝洞窯址 [예술·체육/공예]
광주광역시 북구에 있는 조선시대 분청사기·백자·청자 등을 굽던 가마터.사적. 사적 제141호. 광주광역시 무등산의 충효동 일대에는 14세기 말부터 17세기에 이르는 분청사기와 백자 가마터가 분포되어 있다. 충효동 분청사기 가마터는 1963년과 1991년 두 차례에 걸쳐
광주충효동지석묘 / 光州忠孝洞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에 있었던 초기철기시대의 고인돌. 영산강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건설된 4개의 댐 중 광주댐 수몰지구 내에 들어 있어 현재는 완전히 수몰되어 버렸다. 발굴은 1977년 4월 30일부터 5월 9일까지 전남대학교박물관에 의해 실시되었다. 발굴결과 모두 7기
광주향교 / 光州鄕校 [교육/교육]
광주광역시 서구 구동에 있는 향교. 1398년(태조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配享)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서석산(瑞石山) 장원봉(壯元峰) 아래에 창건되었다. 전설에 의하면 호환(虎患)이 있어서 동문 안으로 옮겨 세웠다가, 1488년
광주향교 / 廣州鄕校 [교육/교육]
경기도 하남시 교산동에 있는 향교. 정확한 창건연대는 알 수 없으나, 조선 후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경기도문화재자료 제13호로 지정되어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주심포(柱心包)계통의 맞배지붕인 대성
광천서원 / 廣川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전사포리에 있는 서원. 1862년(철종 13)에 향중 사림이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 1627∼1704)의 문인으로 예학의 경지가 높고 효행으로 향도에 이름난 송와(松窩) 안명하(安命夏, 1682∼1752)를 추모하여 세운 서원이다. 6년 후
광탄마을고인돌 [역사/선사시대사]
평양시 강동군 남강노동자구 광탄마을에 있는 지석묘(支石墓). 남강로동자구와 란산리 사이에 있는 달현고개 아래에 자리 잡고 있다. 광탄마을에서 약 100m 떨어져 있다. 이 무덤들은 고임돌의 기초도 얕게 묻혀 있고, 고임돌의 절반이상이 돌과 흙무지에 감싸여 있다. 석재도
광한루원 / 廣寒樓苑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조선전기 에 조성된 광한루의 정원.누원. 명승. 남원역 근처의 시내에 춘향과 이도령이 만났다는 광한루가 있고, 그 광한루가 있는 정원을 통칭하여 광한루원(廣寒樓園)이라고 한다. 명승 제33호. 지정면적 6만 9795㎡. 누원에는 호수와 오작교·삼
광희문 / 光熙門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조선전기 서울 성곽의 4소문 가운데 동남쪽 문(門).문루. 수구문(水口門) 또는 시구문(屍口門)이라고도 한다. 석축으로 된 기단부만 남아 있었는데, 1975년에 복원할 때 홍예석축(虹霓石築)을 해체하여 남쪽으로 15m 옮겼고, 문루 12평을 새로
괘궁정 / 掛弓亭 [예술·체육/건축]
북한 양강도 혜산시에 있는 조선후기 혜산진성 남문의 문루였던 누정.북한문화재. 조선시대의 누정으로 정면 3칸(9.45m), 측면 2칸(6.1m)의 익공식(翼工式) 합각지붕건물이다. 둘레에는 10개의 긴 기둥을 세워 1·2층 기둥을 겸하게 하였고, 가운데는 기둥을 세우지
괴산 각연사 비로전 / 槐山 覺淵寺 毘盧殿 [예술·체육/건축]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각연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창건된 사찰건물.불전. 시도유형문화재.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25호.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건물. 각연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전해지고 있으나 비로전은 조선 후기의 건물이다.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제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