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교육 총 1,00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교육
비인향교 / 庇仁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에 있는 향교. 1398년(태조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그 뒤의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며, 현재 대성전을 비롯하여 3동의 목조기와집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4현(
빙계서원 / 氷溪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에 있었던 서원. 1556년(명종 1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안국(金安國)·이언적(李彦迪)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576년(선조 9)에 ‘장천(長川)’이라고 사액되었다가, 1600년(선조 33) 이건(移建
사계서원 / 泗溪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 용산리에 있었던 서원. 1720년(숙종 46) 지방유림의 공의(公議)로 황효공(黃孝恭)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경현사(景賢祠)·흥경당(興敬堂)·동재(東齋)·서재(西齋)·신문(神門)·주소(廚所)
사교육 / 私敎育 [교육/교육]
개인의 의사결정의 주체가 되어 이루어지는 교육. 사교육은 공교육에 대비되는 개념, 공교육과 구별되는 사적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실제이다. 공교육이 ‘공적 준거와 절차에 따라 공적주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교육의 내용, 영역, 형식 그리고 체제’를 말하는 것이라면 사
사립학교령 / 私立學校令 [교육/교육]
1908년 8월 26일자로 반포된 교육 관련 법령. 칙령 제62호로, 전문 16조로 구성된 사립학교령은 1900년대 후반 들어 한국인이 설립하는 사립학교가 크게 늘어나자 이를 규제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주요 내용은 사립학교의 설립시 학부대신의 인가를 받아야 하며, 경우
사문학 / 四門學 [교육/교육]
고려시대 국자감에 편제된 경사육학의 하나. 정원은 300명, 많을 때에는 600명까지 되었다. 교과과정은 국자학·대학과 같은 과정으로서 ≪효경≫·≪논어≫·≪상서≫·≪공양전≫·≪곡량전≫·≪주역≫·≪모시≫·≪주례≫·≪의례≫·≪예기≫·≪좌전≫을 정규과목으로 하였고, 산수와
사범학교 / 師範學校 [교육/교육]
개화기 이후부터 1960년대 초까지 설치되었던 초등교원 양성기관. 1895년 4월 교사양성을 목적으로 '한성사범학교관제'가 제정공포되었다. 우리 나라 최초의 근대식 학교법규이다. 1911년에 일제는 '조선교육령'을 반포하여 사범학교를 폐지, 관립고등보통학교에 1년제 사
사빈서원 / 泗濱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사의리에 있는 서원. 681년(숙종 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진(金璡)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81년에 김극일(金克一)·김수일(金守一)·김명일(金明一)·김성일(金誠一)·김복일(金復一)을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
사액서원 / 賜額書院 [교육/교육]
조선시대에 왕으로부터 서원명현판과 노비·서적 등을 받은 서원. 서원의 건립은 본래 향촌 유림들에 의하여 사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국가가 관여할 필요가 없었다. 그러나 서원이 지닌 교육 및 향사적(享祀的:제사적) 기능이 국가의 인재양성과 교화정책(敎化政策)에 깊이 연
사양서원 / 泗陽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신리에 있는 서원. 1651년(효종 2)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구(鄭逑)의 덕행과 학문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4년(현종 5)에 이윤우(李潤雨)를 추가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 1868년(고종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