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기사 / 技師 [사회/사회구조]

    해당 기술분야에 관한 공학 및 기술의 기초지식과 그 적용능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 기사는 기술사나 기능사와 마찬가지로 국가기술자격시험을 거쳐서 배출되고 있다. 1973년에 기사·기술사·기능사 등 기술자격에 관한 통일된 법률인 「국가기술자격법」(법률 제2672호)이 제정

  • 기사 / 記事 [언론·출판/언론·방송]

    신문이나 잡지 등에서 어떠한 사실을 알리는 글이다.

  • 기사 / 記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서리직. 문반계통의 입사직으로 권무직에 해당되었다. 기록 내지는 문부를 관장하는 도필의 임무를 담당하였다. 어사대에 10인, 연경궁에 2인, 그 밖에 대상부·서경 등에도 두었으며, 지방에 파견되는 사신에게 배속되기도 하였다.

  • 기사 / 騎士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금위영과 어영청에 편성되어 있던 특수 기병대. 각 150인씩으로 조직되어 있었으며, 50인씩 3개번으로 나누어 교대로 근무하였다. 1750년(영조 26) 지방에서 징집하는 향기사제를 폐지하고, 경기사 중심의 직업군으로 개편한 것이다. 각 번에는 지휘관인 정

  • 기사 / 騎射 [역사/조선시대사]

    말을 타고 달리면서 활을 쏘는 기술. 무과를 비롯한 시취에서 중요한 시험과목이었다. 왼손으로 활을 잡는 자와 오른손으로 활을 잡는 자를 나누어서 시험하였으며, 과녁에서 50보나 180보 또는 200보 떨어진 거리를 말을 가로질러 달리면서 활을 쏘도록 하였다.

  • 기사경회력 / 耆社慶會曆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학자 서명응이 기로소 연회의 연유 및 이에 관한 하장·축사·참여 명단 등을 모아 엮은 관찬서. 먼저 책머리에 서명응의 서와 서례(序例)가 있다. 제1권은 「영수옥첩(靈壽玉牒)」으로 이것은 기로소 안에 설치되었던 영수각에 보관한 태조·숙종·영조의 어첩을

  • 기사관 / 記事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춘추관의 정6품에서 정9품까지의 관직. 사관의 하나로서 역사의 기록과 편찬을 담당하였다. 승정원·홍문관·예문관·사간원·시강원·승문원·종부시 등의 관원이 겸임하였다. 연산군 때 녹고관(錄考官)이라 개칭하였으나, 종종 즉위초에 기사관으로 환원되었다. 정조 때 규

  • 기사뇌가 / 碁詞腦歌 [문학/고전시가]

    13세기 초엽에 승려 혜심(慧諶)이 불교 선수행(禪修行)의 요체(要體)를 표현한 한시 작품. 5언(言) 10구(句)의 한시 작품으로서, 시상이 10구체 향가(鄕歌) 작품들과 같이 3단 구조(제1∼4구, 제5∼8구, 제9∼10구)로 이루어졌다. 「기사뇌가」(또는 「우희조

  • 기사본말체 / 紀事本末體 [역사]

    역사를 사건의 시말(始末)로 기록하는 편찬 체재. 이 체재의 특징은 사건의 명칭을 제목으로 내걸고 그에 관련된 기사를 모두 모아 서술하여 사건의 시말을 기술하는 방식이다. 기왕의 역사편찬 체재인 기전체와 편년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해낸 방식이다.

  • 기사장 / 騎士將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금위영과 어영청 소속의 정3품의 관직. 이들 양영은 보병과 기병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기사별장(騎士別將) 밑에 3인의 기사장을 두어 각각 기사 150인을 지휘, 감독하도록 하였다.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