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기문총화 / 記聞叢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말기에 편찬된 편자 미상의 문헌설화집. 주로 역대 명사들의 일화로 이루어져 있다. 이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규장각본(4권 3책)·연세대학교 도서관본(4책·1책)·서울대학교 도서관본(2책·11책)·국립중앙도서관본(2권 1책)·장서각본(1책)·정명기(鄭明
기발 / 騎撥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변방의 군사 정보나 왕명을 말을 타고 전달하던 교통 통신 수단. 원래 파발 제도는 봉수 제도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실시된 것이다. 기발은 역참과 병행되어 설치되거나 별개의 독립된 지역에 설치되었다. 또한 사신 영송과 행정 공문서를 전담하는 역참 제도와 그
기백산 / 箕白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과 거창군 위천면에 걸쳐 있는 산. 기백산의 높이는 1,331m로, 이 일대는 소백산맥이 서남으로 뻗으면서 덕유산(1,568m)을 이루고, 또 덕유산에서 동남으로도 산줄기가 뻗었는데, 여기에는 월봉산(月峯山, 1,272m)·금원산(金猿山, 1,33
기범연의 / 箕範衍義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원곤이 『홍범』을 해석하여 1850년에 간행한 주석서. 불교서. 10권 4책. 경(經)·전(傳)·자(子)·사(史)에서 중요한 것과 선유(先儒)의 설을 인용하고, 자신의 견해를 덧붙여 그 뜻을 부연하였다. 성근묵(成近默)·이양연(李亮淵)·소수구(蘇洙矩)
기병대 / 騎兵隊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에 설치된 기마부대. 1895년에 창설되어 참령이 주관하였다. 1894년에 신식군대인 훈련대가 조직, 이에 편입되지 못한 구식군대를 중심으로 13개의 신설대가 편성되었다. 이 가운데 3대가 마병으로 편제되었고, 이 마병이 이듬해에 기병대로 개편되었다. 기병대대
기복출의첩 / 起復出依牒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예조에서 상중인(喪中人)에게 기복(起復)을 명하는 문서. 기복은 기복출사(起復出仕)의 줄임말로서, 상을 당해 휴직 중인 관리를 복상기간 중에 직무를 보게 하던 제도를 뜻한다. 출의첩은 의정부의 의안에 대하여, 예조에서 대간의 서경을 상고하고 나서 내주던 공첩
기본형 / 基本形 [언어/언어/문자]
활용하는 단어에서 활용형의 기본이 되는 형태. 현행 국어에서는 대표형태의 어간에 평서형 종결어미 ‘-다’가 붙은 활용형을 기본형으로 설정한다.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제정된 후 그 당시 기본형에 대한 논의는 어간만을 기본형으로 보는 견해와 지금과 같이 어간에
기봉집 / 岐峰集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시인 백광홍(白光弘)의 시문집. 5권 2책. 목활자본. 권두에 홍직필(洪直弼)·백사(白師)의 서문이 있으며, 권말에 기우만(奇宇萬)·백후진·백채인(白采寅)·백희인 등의 발문이 있다. 권1은 부(賦), 권2∼4는 시로 오언절구·오언사운·오언고시·칠언절구·칠언
기부금 / 寄附金 [경제·산업/경제]
자선사업이나 공공사업을 돕기 위해 대가가 없이 내놓은 돈이다.
기쁜소식 [언론·출판/언론/방송]
동양선교회 성결교회 출판부가 1934년 11월 5일에 한글로 내리 편집하여 발행한 기독교 여성 월간지. 내용으로는 권두언, 설교, 성서강해, 잡문, 교육, 가정, 화보, 소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