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윤선거 / 尹宣擧 [종교·철학/유학]

    1610(광해군 2)∼1669(현종 10).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황, 어머니는 성혼의 딸이다. 문거의 아우이며, 증의 아버지이다. 김집의 문인이다. 유계와 함께 저술한『가례원류』·『후천도설』 및 이에 관하여 유계와 논변한 편지를 비롯한 많은 저술을 남겼다.

  • 윤선도 / 尹善道 [종교·철학/유학]

    1587(선조 20)∼1671(현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문인. 아버지는 유심. 숙부 유기에게 입양됐다. 1628년(인조 6) 별시문과 초시에 장원으로 합격해 봉림대군·인평대군의 스승이 됐다. 문집『고산선생유고』에 한시문이 실려 있고, 별집에도 한시문과 35수의

  • 윤순 / 尹淳 [종교·철학/유학]

    1680년(숙종 6)∼1741년(영조 17). 조선 후기의 문신·서화가. 두수 5대손으로, 지평 세희 아들, 유의 아우이다. 어머니는 이동규의 딸이다. 정제두의 문인이며 정제두의 아우 제태의 사위이다. 1712년(숙종 38) 진사시에 장원급제하고, 이듬해 증광문과에 급

  • 윤순지 / 尹順之 [종교·철학/유학]

    1591(선조 24)∼1666(현종 7). 조선 후기의 문신. 변 증손, 할아버지는 두수, 아버지는 훤, 어머니는 심의겸의 딸이다. 1620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검열· 경기도관찰사, 도승지, 개성유수, 한성판윤, 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행명집』

  • 윤심형 / 尹心衡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8∼1754). 신임사화로 노론이 추방당할 때 삭직당하고 병계에 은퇴하였다. 1724년(영조 즉위) 노론의 집권으로 정언·교리·이조좌랑·헌납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1728년 정미환국으로 작은아버지 봉조가 귀양가고 노론의 영수인 민진원 등 수십인

  • 윤안국 / 尹安國 [종교·철학/유학]

    1569(선조 2)∼1650(효종 1).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응상, 어머니는 이원우의 딸이다. 박세당은 그의 외손자이다. 1591년 명경과에 급제, 승문원정자, 공조정랑, 예조참의, 울산판관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설초유고』1책이 있다.

  • 윤양래 / 尹陽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73∼1751). 1746년 지중추부사로 있을 때에 유생 60여명과 연명상소로 소론 박문수 등이 탕평론을 벌임에, 신임사화에 관련된 소론들을 뿌리 뽑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가 한때 삭직되었다. 경사에 밝고 글씨를 잘 썼다. 글씨로는〈영상윤인경비〉와

  • 윤용 / 尹熔 [종교·철학/유학]

    1708(숙종 34)∼1740(영조 16). 조선 후기의 화가. 윤선도의 후손 두서의 손자, 덕희의 차남이다. 1735(영조 11)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할아버지 두서와 아버지 덕희로부터 그림에 대한 재능을 이어받고 문장에도 뛰어났으나 33세로 요절하였다. 산수화는 가

  • 윤용구임궁내부대신고명 / 尹用求任宮內府大臣誥命 [정치·법제]

    1906년(광무 10) 11월 10일. 고종이 윤용구(尹用求)를 궁내부대신으로 임명한 고명. 《고종실록》에 의하면, 윤용구는 규장각학사에서 궁내부대신으로 임명된 것으로 나온다. 을사조약 후 일본 정부에서 남작을 수여하였으나 거절하였다. 고명은 원래 황제가 제후나 5품

  • 윤용구임명문서 / 尹用求任命文書 [정치·법제]

    1907년(광무 11) 5월 27일. 종1품 숭록대부 궁내부특진관 윤용구(尹用求)를 규장각학사 겸 시강원일강관 칙임관 1등에 서임하는 임명장. 궁내부대신 이재극(李載克)이 봉칙하였다. 윤용구가 임명된 일강관은 대한제국기에 시강원의 칙임관으로, 고종 31년에 처음 설치하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