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기록영화 / 記錄映畵 [언론·출판/언론/방송]
영화의 한 유형으로 사실성을 강조하여 촬영한 영화의 통칭. 리얼리스트필름으로도 불리며,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주로 문화영화로 불린다.
기록초음 / 騎鹿樵吟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신광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5년에 간행한 시집.시문집. 2권 1책. 필사본. 1975년 이가원(李家源)이 편집하고, 신완식(申完植)과 신하식(申夏植)이 간행하였다. 권말에 목만중(睦萬中)의 발문이 있다.권1은 사(詞) 199수, 권2는 시 138수
기르스 / H. K. Гирс [정치·법제/외교]
1820-1895. 러시아 외교관. 러시아 외무대신 기르스는 뿌쉬낀 귀족학교를 졸업하고 1838년에 외무부 아시아국에서 근무하기 시작하였다. 1851년에 몰다비야 주임 영사로 임명, 1856년에 이집트 총영사, 1858년에 발라히야와 몰다비야 총영사로 임명되었다. 18
기름 강아지로 호랑이 잡은 사람 [문학/구비문학]
기름으로 강아지를 미끄럽게 하여 호랑이를 잡아 부자가 되었다는 내용의 설화. 소담(笑譚)의 한 종류인 포획담에 속하는 설화 유형이다. 강아지나 호랑이 같은 동물이 등장하고 있어 동물담으로 분류되기 쉬우나, 이들은 의인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 유형은 동물담이 아니라 포획
기리고차 / 記里鼓車 [과학기술/과학기술]
조선시대 때 거리를 측정하던 수레. 세종 때의 기리고차도 그 바퀴의 둘레가 세종주척(世宗周尺) 18척이 되는 직경 119.15㎝의 양바퀴 초거로서 바퀴가 1백 번 회전할 때마다 나무인형이 북을 쳐 소리로 1리를 알리도록 만들었다. 물론 바퀴의 회전수는 톱니바퀴로 자동
기린령 / 麒麟嶺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양덕군 온천면과 함경남도 고원군 산곡면 사이에 있는 고개. 기린령(麒麟嶺)의 높이는 725m이다. 이 고개는 낭림산맥의 남단에 위치한 재령산(載靈山, 1,208m)과 조개덕산(造介德山, 1,075m) 사이의 안부(鞍部)주 01)에 위치한다. 이 고개의 남사면은
기림사삼층석탑 / 祇林寺三層石塔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기림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3층 석조 불탑.시도유형문화재.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05호. 2중 기단 위에 3층탑신을 얹은 전형적 양식의 소규모 석탑으로 응진전(應眞殿) 앞마당에 세워져 있다.기단부는 하층기단 하대석 이하는 땅 속에 묻혀
기림사응진전 / 祇林寺應眞殿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기림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창건된 사찰건물.불전. 시도유형문화재. 정면 5칸, 측면 2칸의 다포계 단층 겹처마 맞배지붕건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14호. 장대석 1벌을 놓아 기단(基壇)을 만들고, 그 위에 화강석 주초를 놓아 기초를 형성하였다
기명절지도 / 器皿折枝圖 [예술·체육/회화]
보배롭고 귀중한 옛날 그릇들을 그린 기명도와 꺾여진 꽃, 풀, 채소 등을 그린 절지도를 함께 그린 그림. 기명절지도는 중국에서는 당말오대 때부터 많이 그려졌고, 한국에서는 여말선초부터 그려졌다는 설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기명절지도를 잘 그린 화가는 김광수(1696-?)
기목진 / 基木鎭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영주와 예천 지역의 옛 지명. 고려 초에 기주(基州)로 고치고, 1018년(현종 9) 길주(吉州)에 속하였다. 1172년(명종 2) 감무를 두었고 안동부의 속현이 되었다. 1413년(태종 13) 기천(基川)으로 고치고, 조선 문종 때 은풍현(殷豊縣)을 병합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