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기독신보 / 基督申報 [언론·출판/언론/방송]
1915년 12월 8일 창간되어, 6면 5단으로 내리 편집하여 매주 수요일에 발행한 주간신문. 신문의 내용은 사설, 설교, 논설, 기행, 소식, 번역, 잡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독청년 / 基督靑年 [언론·출판/언론/방송]
1917년 11월 17일 창간되어, 국한문을 혼용하여 1-3단으로 내리 편집한 월간지. 동경 한국인기독교청년회의 기관이다.
기동악부 / 箕東樂府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김수민(金壽民)이 지은 영사악부(詠史樂府). 조선 후기에 김수민(金壽民)이 지은 영사악부(詠史樂府). 총 385제(題)에 달하며, 작자의 문집인 ≪명은집 明隱集≫ 권4∼5에 수록되어 있다. 우리 나라 역사 속에 등장하는 인물·역사 등에서 소재를 취하여 창작
기동죄인추포형지장계 / 譏詷罪人追捕形止狀啓 [정치·법제]
연도 미상. 미상 월 12일부터 22일까지의 죄인 등의 추포 상황을 미상인이 미상인에게 올린 장계. ①12일 서울의 포교로부터 좌각의 하서를 받은 일, ②16일 태인 현감으로부터 죄인 송상현, 김귀돌, 광옥과 박계원 등을 붙잡았음을 보고받은 일, ③20일 옥구 현감으
기러기아빠 [사회/사회구조]
자녀 교육을 목적으로 배우자와 자녀를 외국으로 떠나보내고 홀로 국내에 남아 뒷바라지하는 아버지. 기러기 아빠는 1990년대 조기유학 열풍에서 생겨난 현상으로, 평소에는 한국에 머물며 돈을 벌다가 일 년에 한두 번씩 가족이 있는 외국으로 날아간다는 점에서 철새인 기러기와
기려수필 / 騎驢隨筆 [역사/근대사]
조선후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유학자 송상도가 대한제국기부터 광복까지 애국지사들의 사적을 기록한 사적기.항일기. 권상익(權相翊)의 서문과 저자의 원범례(原凡例)가 들어 있다. 원본은 저자가 정리한 5권 5책 외에 일부 미정리된 원고로 남아 있던 것을 국사편찬위원회에
기려승교 / 騎驢乘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관원들이 이용한 교통수단에 대한 규정. 신분과 지위에 따라 승용하는 말이나 가마의 품격을 정하였다. 초기에는 2품 이상의 고관들에게만 초헌(軺軒)을 타게 하고 3품 이하 관원들은 말을 타게 하였는데, 당상관은 호상(胡床)·안롱(鞍籠) 등을 지참할 수 있었다.
기로과 / 耆老科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국왕이나 왕비·대비·대왕대비 등의 나이가 60 또는 70이 되었을 때, 이를 경축하기 위해 실시한 과거. 60 또는 70세 이상자에게 응시 자격을 주었고, 문·무 2과가 있어서 모두 단 한번의 시험으로 급락을 결정하였다. 문과는 부(賦)·전(箋)·송(頌)·명
기로소 / 耆老所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연로한 고위 문신들의 친목 및 예우를 위해 설치한 관서. ‘기(耆)’는 연고후덕의 뜻을 지녀 나이 70이 되면 기, 80이 되면 ‘노(老)’라고 하였다. 처음에는 경로당과 같은 친목기구의 성격을 띠었다. 그러나 1765년(영조 41)부터 독립관서가 되었는데,
기로연 / 耆老宴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기로소에 등록된 전·현직 문신관료들을 위해 국가에서 베풀어주는 잔치. 매년 상사(上巳 : 음력 3월상순의 巳日, 혹은 3월 3일)와 중양(重陽 : 9월 9일)에 보제루(普濟樓)에서 큰 잔치를 열었다. 기로연에는 정2품의 실직(實職)을 지낸 70세 이상의 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