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기년아람 / 紀年兒覽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만운이 우리나라와 중국의 연표·지리·세계등을 어린이와 일반인이 알기 쉽게 편찬한 역사서. 이만운이 영조 말년에 편찬한 것을 1777년(정조 1)에 이덕무(李德懋)가 수정, 보완했고, 그 이듬해에 이만운이 다시 손질한 후 서문을 붙여서 완성시켰다.뒤
기년찬요 / 紀年纂要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제1대 왕 태조부터 제23대 왕 순조때까지 443년간의 역사를 편년체로 기술한 역사서. 23권 4책. 사본. 편자 및 편저의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순조의 묘호(廟號)를 순종(純宗)으로 쓴 것으로 미루어보아 1857년(철종 8) 이전에 이루어진 것으로 여
기년통고 / 紀年通攷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 조현소가 명나라와 조선의 역사를 편년체로 함께 서술한 역사서. 편년체사서. 박세채(朴世采, 1631∼1695)의 발문에 따르면, 조현소는 세상에서 유행하는 야사(野史)들이 믿을 만하지 못하다는 점과 지식인들이 당대의 역사를 잘 알지 못한다는 판단으로 중
기년편고 / 紀年便攷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제1대 왕 태조부터 제26대 왕 고종에 이르기까지 연도별 중요 역사 및 그 해에 탄생한 인물에 대한 약력을 수록한 인명록.역사서. 44권 22책. 필사본. 1897년에 박의성(朴義成)이 편찬하였다. 제1책은 범례·인용제서(引用諸書)·목록이고, 제2책은 누락되었
기념가 / 紀念歌 [문학/고전시가]
1912년에 김정혜(金定慧)가 지은 불교가사. 첫머리와 끝부분은 “어와우리 동포들아/ 오날날을 알으시오/ 명치사십 사년도에/ 봉불ㅎ.던 기념일세/ 우리세존 석가여래/ 대자대비 서원으로/ 삼계화택 고해중에/ 중생제도 ㅎ.시고져……이와갓흔 불은덕은/ 우리당연 갑흘바라/ 우
기능사 / 技能士 [사회/사회구조]
해당 직무분야에 관한 상급 및 중급의 숙련기능을 가지고, 제작·제조·조작·운전·보수·정비·채취·검사 및 이에 관련되는 기능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법적 자격을 가진 사람. 1973년에 기사·기능사·기술사에 관한 통일된 법률인 <국가기술자격법>(법률 제2672호)이 제정되
기단 / 基壇 [예술·체육/건축]
집터를 잡고, 터를 반듯하게 다듬은 다음에 터보다 한층 높게 쌓은 단. 기단의 종류는 쌓는 재료에 따라 흙으로 쌓은 토단(土壇, 일명 土築基壇), 벽돌로 쌓은 전축기단(塼築基壇), 돌로 쌓은 석축기단(石築基壇), 벽돌과 돌을 섞어 쌓은 석전병용기단(石塼倂用基壇) 등이
기단 / 氣團 [지리/자연지리]
장기간에 걸쳐 한 지역에 정체하면서 지표면의 성질이 반영된 공기 덩어리. 공기가 장기간에 걸쳐서 한 지역에 정체하면서 지표면의 성질이 반영된 공기덩어리를 말하며, 수직적으로 3∼10km, 수평적으로 1,000km가 넘는 대규모이다. 지구상의 기단은 대륙성 극기단과 한대
기대승 / 奇大升 [종교·철학/유학]
1527-1572. 조선시대의 성리학자. 1558년 과거 급제하여 사관이 되었다. 32세에 정지운, 이황과 <태극도설>을 논하고, 이황과 사칠논변을 통하여 사상적 체계를 완성시켰다. 정지운의 <천명도>는 호씨설에서 나왔고, 이황의 사칠론은 <주자어류>에 지나치게 의존
기대승종가소장문적 / 奇大升宗家所藏文籍 [언론·출판/출판]
조선전기 문신·학자 기대승의 종손가에 소장된 유학서. 종가유물.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2호. 조선 중기의 학자 기대승의 종손가에 소장된 고문서와 전적(典籍) 7종 18점으로, 분재기(分財記) 3점·전적 3점·명문(明文) 6점·시권(試券) 3점·상소(上疏) 1점·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