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2,17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노옹화구설화 [문학/구비문학]

    신라 때 김유신(金庾信)을 찾아온 한 노인이 변신술을 부렸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 중 변신담(變身譚)에 속한다. 지금은 전하지 않는 『수이전(殊異傳)』에 수록되어 있었다고 하며, 조선 선조 때 권문해(權文海)가 엮은 『대동운부군옥(大同韻府群玉)』에 실려 있다

  • 노인가 / 老人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가사육종(歌詞六種)』·『교주가곡집(校註歌曲集)』 등에 실려 있다. 4음보를 1행으로 헤아려 모두 100행이다. 인생이 덧없이 늙어가나 인간의 힘으로는 결코 늙음을 막을 수 없으므로, 욕망에 따라 마음껏 현실을 즐기자는 것이 주제이다. 사설이

  • 노적봉설화 [문학/구비문학]

    적과 전투를 하던 장수가 산꼭대기에 식량이 넉넉하다는 것을 과시하는 꾀를 내어서 적을 물리쳤다는 내용의 설화. 지략담에 속하며 전국적으로 널리 전승된다. 대표적인 것이 전라남도 목포시 대의동에 있는 「노적봉전설」이다. 임진왜란 때에 이순신(李舜臣)이 이곳에 진을 치고

  • 노주유거 / 盧洲幽居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박인로(朴仁老)가 지은 시조. 조선 후기에 박인로(朴仁老)가 지은 시조. 1636년(인조 14)경에 지은 것으로 여겨진다. 『노계집 蘆溪集』 권3에 수록되어 있으며, 한가한 자연의 흥취를 노래한 것이다. 노주는 작자의 고향인 영천(永川)을 말하는 것으로,

  • 노처녀가 / 老處女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조선 후기 가사. 규방가사로 보기도 하나 그 성격을 규정하기 어렵다. 이 작품은 이본이 여럿 있는데, 시집 못간 미모의 노처녀가 토로하는 신세한탄을 내용으로 하는 계열과, 추녀이며 갖은 병신인 노처녀가 결국 시집을 가게 된다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계열

  • 녹두영감설화 [문학/구비문학]

    녹두를 가꾸는 영감과 그 녹두를 몰래 따먹는 토끼 사이의 지혜 대결을 다룬 설화. 이 대결은 토끼의 승리로 끝나며 구전설화로 전해내려오고 있다. 옛날에 한 영감이 뒷동산에 녹두를 심어놓았다. 녹두가 잘 자라서 열매를 맺자 토끼가 내려와 몰래 녹두를 따먹었다. 우리 설화

  • 논학가 / 論學歌 [문학/고전시가]

    김주희(金周熙)가 지은 것으로 전해지는 동학가사. 4·4조가 주조를 이루며 길이는 4음보 1행으로 따져 약 493행이 된다. 경상북도 상주 동학본부에서 1932년『용담유사』 제12로 간행되었으며, 1979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간행된 가사문학대계 『동학가사』 Ⅰ에 수

  • 농가 / 農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위백규(魏伯珪)가 지은 시조. 모두 9수의 연시조이다. 『존재가첩(存齋歌帖)』·『삼족당가첩(三足堂歌帖)』·『사중약강회명첩(社中約講會名帖)』 등에 전한다. 『삼족당가첩』의 작품은 1972년심재완(沈載完) 편 『역대시조전서』에 수록되었고, 『존재가첩』의 것은

  • 농가월령 / 農家月令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고상안(高尙顔)이 지은 농사 교본(農事敎本). 1책. 필사본. 내용은 서두에서 농사에 주력할 것을 주장했으며, 정월령부터 12월령까지 12월 순별, 24절후 순별로 농가에서 진행해야 할 농사일과 농사짓는 법 등을 작자의 체험을 토대로 체계적이고도 구체적으

  • 농가월령가 / 農家月令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헌종 때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가사. 1책. 필사본. 전체 14단락으로 되어 있다. 12달의 12단락 전후에 서사단락(序詞段落)과 결사단락(結詞段落)이 부가된 것이다.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서사 34구, 정월령 78구, 2월령 54구, 3월령 100구, 4월

페이지 / 21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