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총 1,89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노동 / 勞動 [사회/사회구조]
사람이 생존·생활을 위하여 특정한 대상에게 육체적·정신적으로 행하는 활동을 가리키는 사회용어. 인간은 존재 자체로부터 생존수단의 획득이 필연적이므로 어떠한 사회에서도 노동은 필요하다. 다만, 자연 그대로의 노동대상을 상대로 노동할 수도 있고, 기존의 노동의 산물인 원료
노동시간 / 勞動時間 [사회/사회구조]
노동자가 사용자에게 고용되어서 노동하는 시간. 노동시간은 1일·1주·1년 중 어느 것을 단위로 하느냐에 따라 노동일(勞動日)·노동주(勞動週) 그리고 노동년(勞動年) 등으로 불린다. 하루를 단위로 하여 노동시간 수를 나타낼 때에는 노동일이라고 부르는데, 이를테면 하루의
노동시장 / 勞動市場 [사회/사회구조]
노동자와 사용자가 만나 경쟁관계를 통하여 양자간의 관계가 결정되는 과정 또는 그 영역. 우리나라에서 생산자를 생산수단으로부터 분리시킨 계기는 일제의 토지조사사업이었다. 이 사업은 지주에게 배타적 사유권이 법으로 인정된 반면, 이전에 소작인이 가지고 있던 관습상의 경작권
노동요 [문학/구비문학]
노동을 하면서 부르는 민요. 노동요는 의식요나 유희요와 함께 일정한 생활상의 기능을 가진 기능요에 속하며, 기능요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민요는 원래 노동요에서 시작된 다음 다른 기능요로 전용되고, 일정한 생활상의 기능을 가지지 않은 비기능요로 바뀌기도 했다
노동운동 / 勞動運動 [사회/사회구조]
노동자들의 경제적, 사회적 지위를 안정 또는 향상시키려는 운동. 우리 나라의 근대적인 노동운동은 개항 이후 외세의 침입에 따른 자본주의화 과정에서 근대적 임금노동자층이 형성되면서 비롯되었다. 노동운동의 주체도 시기에 따라 다양한 노동자로 바뀌었고, 현재는 다양한 노조가
노동자 / 勞動者 [사회/사회구조]
자신의 노동력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받은 임금으로 살아가는 사람. 우리 사회에서 근대적 임금노동자의 기원을 18-19세기 무렵의 전자본주의적 생산체계내에 존재하였던 농업의 고공(雇工, 머슴)과 임용사공(賃用私工), 광업의 용인(傭人) 및 수공업의 모작배(募作輩) 등에서
노동절 / 勞動節 [사회/사회구조]
근로자의 노고를 위로하기 위해 제정된 휴일. 근로자의 연대와 단결된 힘을 보이고 노고를 위로하고 사기, 권익, 복지를 향상시키며 근로의욕을 더욱 높이자는 뜻에서 제정된 휴일로서 매년 5월 1일에 기념한다.
노동조합 / 勞動組合 [사회/사회구조]
근로자가 주체가 되어 근로조건의 유지, 개선 및 기타 근로자의 경제적, 사회적 지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조직하는 단체 또는 그 연합단체. 노동조합은 근대 자본주의사회의 고유한 노동자 조직이다. 근대 자본주의사회가 형성되기 이전의 사회에도 노동자들의 조직은
노래 [문학/고전시가]
곡조를 붙여 부르는 소리나 말, 또는 글. 중세 국어자료가 보여주는 바로는 ‘노래’는 그 당시 ‘놀애’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놀다[遊]’라는 말에서 파생된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므로 노래는 오락성 또는 연희(演戱)의 성격을 명칭 자체에 이미 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노사관계 / 勞使關係 [사회/사회구조]
고용을 근거로 자본가·사용자 또는 관리자와 노동자나 노동자 단체 간에 전개되는 기업 내의 의사결정과 관련된 사회관계. 영어문화권이나 국제사회에서 흔히 노동관계(labor relations)로 지칭되는 개념이다. 영어문화권에서는 노사(노동)관계를 인적자원 관리(hu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