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긍암집 / 兢菴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강세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3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활자본. 1853년(철종 4) 그의 증손 승형(昇馨)과 족손 연영(連永)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연영과 승형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

  • 긍암집 / 肯庵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이돈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권1에 시 112수, 권2에 봉교문(奉敎文) 1편, 계(啓) 3편, 소 3편, 권3∼5에 서(書) 181편, 권6·7에 잡저 33편, 권8에 서(序) 38편, 권9에 기 13편, 발 17편, 권1

  • 긍와집 / 肯窩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전상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1년에 간행한 시문집. 1책(132장). 연활자본. 1931년 5대손인 태훈(泰勳)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양순(金亮淳)의 서문과 권말에 태훈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시 206수, 상량문 1

  • 긍재유고 / 兢齋遺稿 [종교·철학/유학]

    긍재 권상룡의 문집. 1권 1책. 석인본. 1935년 후손 권도묵이 집안에 간직되어 있던 시문을 수집하여 2책으로 만들었는데, 당시에는 간행하지 못하였다. 1984년 후손들이 재물을 내어 간행하게 되었다. 시는 98제 102수가 실려 있다. 「여이정수」는 이수정에게

  • 긍재집 / 兢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병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2년에 간행한 시문집. 14권 4책. 목활자본. 1942년 그의 동생 병선(柄選)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발문은 없고, 끝에 간기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수에 목록이 있고, 권1에 시

  • 긍재집 / 兢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정지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2년에 간행한 시문집. 7권 3책. 활자본. 1912년 저자의 아들인 규흥(圭興)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장승택(張升澤)·정만조(鄭萬朝)의 서문과 권말에 아들 규흥의 발문이 있다. 규

  • 긍재집 / 兢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정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2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석판본. 1932년 그의 문도 박민룡(朴敏龍)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서문과 발문이 없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에 시 114수, 권2에 서(書) 41수, 권3에 잡저 8편

  • 긍재편록 / 兢齋編錄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어유구의 소차·박고·일기·만록 등을 수록한 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872년(정조 6) 아들 석정(錫定)이 시를 제외한 소차(疏箚)·박고(博考)·일기·만록·행장·책문(策文) 등을 수록, 간행하였다. 말미에는 어석정이 쓴 발문이 있다. 권1·2에는

  • 긍파재문집 / 肯播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권한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6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석인본. 증손 오봉(五鳳)이 1942년에 편집한 것을 1976년 기원(奇元)·기철(奇喆)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회춘(李會春)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유현우(柳賢佑)의 발문이 있다

  • 기 / 記 [문학/한문학]

    한문체의 하나로 기사문. 우공(禹貢) ‘고명(顧命)’이 기(記)의 시조(始祖)이고, 기(記)라는 명칭은 ‘대기(戴記)’, ‘학기(學記)’ 제편(諸篇)에서부터 비롯되었다. 한(漢) 이전에는 드물게 쓰다가 당(唐)부터 많이 쓰였다.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