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급우재집 / 及愚齋集 [생활]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4책이며, 판종은 신연활자본(新沿活字本)이다. 규격은 28.7×18.3cm이고, 반곽은 20.3×13.7cm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급우재집(及愚齋集)이다. 김영한(金寧漢)이 저술하였고, 김활동(金濶東)이 엮은
급유방 / 及幼方 [과학기술/의약학]
1749년(영조 25)에 조정준이 편찬한 소아과전문 의서. 13권 6책. 필사본. 이 책의 특징은 당시 중국 의서의 모방을 탈피하여 독자적이고 새로운 내용을 체계적으로 기술하였다는 점이다. 특히, 저자는 먼저 질병을 파악하여 생약을 투여하였으며, 오랜 경험에 의하여 우
급전도감 / 給田都監 [경제·산업/경제]
고려시대 전시과의 절급 사무를 관장하던 임시관서. 문종 때 처음 설치되었다. 설치 목적은 각 품계에 따른 관리의 전시과(田柴科) 절급을 위한 것이었으나, 무신란 이후 폐지되었다가 점차 국가에 조세를 바쳐야 할 공전이 사전화되어 가고, 더욱이 몽고의 침입으로 국고가 고
급전사 / 給田司 [경제·산업/경제]
조선 전기 토지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된 호조 소속의 관서. 고려시대 급전도감과 같이 토지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곳이다. 원래 전곡을 관장하던 사평부가 1405년(태종 5)에 혁파되고 그 소관업무는 호조에 귀속되었으며, 뒤이어 육조분장제가 상정될 때 호
급제선생안 / 及第先生案 [언론·출판/출판]
1720년에 제작된 무과에 급제한 사람의 이름을 기록한 인명록.관찬서. 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2호. 1책(32장)으로 구성된 필사본이다. 이 급제선생안은 1720년(숙종 46) 경에 김여강(金汝江)·김우천(金羽遷)·김우달(金羽達)·양유성(梁有成) 등이 건의하여
급주전 / 急走田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각 역에 소속된 급주노에게 주어진 토지. 급주노는 역노(驛奴)로 충원되는데, 공무의 수행상 여행하는 관인의 역마를 견인하거나 긴급한 공무의 전달을 맡는 자였다. 급주전은 민전(民田) 위에 설정되어 해당 결·부의 수만큼의 세를 급주노가 스스로 거둬들이는 이른바
긍구당 / 肯構堂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에 있는 조선전기 영천이씨 이헌과 이현보 관련 주택.시도유형문화재. 정면 3칸, 측면 2칸의 홑처마 팔작지붕건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2호. 이 건물은 본래 영천이씨(永川李氏) 분천동(汾川洞) 입향시조(入鄕始祖)인 이헌(李軒)이 고려 말에 창건
긍구당유고 / 肯構堂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중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9년에 간행한 시문집. 1880년(고종 17) 김중정의 9대손 김태현(金泰鉉) 등이 편집한 것을 1899년 9대손 김대현(金大鉉)이 간행하였다. 권두에는 1880년에 김상현(金尙鉉)이 쓴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태현과
긍당고 / 肯堂藁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장석윤의 서(序)·부·기·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2권 2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집과 저술연대가 자세하지 않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부 5편, 서(序) 11편, 기 15편, 제발(題跋) 5편, 권2는 제문 6편, 기우문 4편,
긍당집 / 肯堂集 [종교·철학/유학]
개항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학자 이규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82년에 간행한 시문집. 권1∼3에 부 1편, 시 997수, 권4∼6에 서(書) 139편, 서(序) 52편, 기 24편, 권7에 발 16편, 설 3편, 명 6편, 찬(贊) 5편, 자사(字辭) 1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