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급가 / 給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상·혼·병 등의 사고를 당한 관원에게 주는 휴가제도. 이 제도는 문관은 이조, 무관은 병조, 종친은 종부시에서 관장하였다. 이와 같은 관원의 휴가는 모두 왕에게 보고하도록 되어 있었는데, 다만 시향(時享)·식가(式假)·복제·신병의 경우는 왕에게 보고하지 않았
급건재만록 / 及健齋漫錄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시수의 시·의계·교서·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본집은 8권 6책, 목활자본. 별집은 2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으며, 간행연대 및 편집·간행자는 미상이다. 문집의 간행은 저자가 영의정을 역임한 고관인 만큼 생전에 되었으나, 유루(遺漏)된 부
급고유고 / 汲古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학자 이홍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17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2책. 목판본. 1617년(광해군 9) 손자인 정신(廷紳)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8대조인 당(唐)으로부터 저자에 이르기까지의 세계(世系)와 행략(行略)이 있고, 권말에 정신의 발문이
급고재문집 / 汲古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김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5년에 간행한 시문집. 1855년(철종 6)에 김담의 9대손 김인섭(金麟燮)이 편집·간행하였으며, 1897년에 김담의 11세손 김진호(金鎭祜)가 중간하였다. 김인섭의 서문과 권계형(權繼亨)·김진호의 발문이 있다. 권1∼5
급보 / 給保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군역 및 여러 종류의 국역 이행자에게 그 의무 이행 기간의 비용 마련을 위해 일정한 수의 보인을 배정해준 제도. 보인의 수는 국역의 종류에 따라 달랐다. 초기에는 자연가호를 3정(丁) 1호(戶)의 기준으로 파악해 호 단위로 호수와 봉족의 관계를 설정하다가,
급사 / 給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동반 종8품 토관계의 위호. 직무랑(直務郎)이 받는 관계이었다. 영흥부의 전례서(典禮署)·전주국(典酒局)에 각각 1원, 평양부의 전례서·전주국에 각각 1원, 영변대도호부·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의 전례서·전주국에 각각 1원, 의주목, 회령도호부·경원도호부·종성
급사중 / 給事中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종4품 관직. 문종 때에 인원을 1인으로 정하였고, 뒤에 중사(中事)라고 고쳐 불렀다. 1298년(충렬왕 24)에 충선왕이 다시 급사중으로 개칭하였으나, 1308년에 직제를 파하였다. 1352년(공민왕 1)에 중사라는 명칭으로 다시 두었으나 곧
급산 / 岌山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영주 지역의 옛 지명. 940년(태조 23) 흥주(興州)로 고쳤고, 1018년(현종 9) 안동부(安東府)에 예속시켰다가 뒤에 순안현(順安縣)으로 이속시켰다. 1172년(명종 2) 감무(監務)를 두었다가 충목왕 때 순흥부(順興府)로 격상시켰다. 1413년(태종
급산집 / 岌山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안영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937년에 아들 승윤(承胤)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말에 정태진(丁泰鎭)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는 부(賦)·시, 권
급암선생 시집 / 及菴先生詩集 [종교·철학/유학]
고려후기 문신·학자 민사평의 고시·율시·사소등을 수록하여 1370년에 간행한 시집. 외손 김구용(金九容)이 편집하고, 문인 이이(李珥)가 경상도안렴사(慶尙道按廉使)로 있을 때 이색(李穡)의 발문을 받아 1370년에 간행하였다. 인쇄된 후 워낙 오랜 세월이 지나 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