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유씨전 / 劉氏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유씨전」은 유씨부인의 열행(烈行)을 널리 알리고, 그로 인한 사회적 보상심리로서 재생을 통한 행복한 결말을 그리고 있다. 이를 위해 ‘염라국’이라는 비현실계를 설정하고 있으나, 작품 속에서 ‘염라국’은 오히려 현실적인

  • 유아복 / 幼兒服 [생활/의생활]

    어린아이의 옷. 고종 때의 ≪궁중발기 宮中撥記≫에 의하면 왕자의 삼칠일 의대(衣襨)로는 배자·누비민분홍저고리·누비민옥색저고리·민바지·누비두렁이·백오목이·초록누비천의·끈 등이다. 백일옷은 관·아청복건·양남촉사래·분홍누비두루마기·양남쾌자·초록배자·분홍옥색저고리·누비겹백바지

  • 유암집 / 楡巖集 [종교·철학/유학]

    배유장의 시문집. 목활자본, 서:권연하(1883) 발:송석(1888), 3권1책. 권수에 권연하(1813~1896)의 서문, 권미에 송석의 발문이 있다. 권1에는 88제 90수의 시와 6통의 편지를 비롯하여 서 3, 기 2, 발 3, 상량문 2, 제문 9이 실려 있다.

  • 유언호 / 兪彦鎬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0∼1796). 1761년(영조 37)에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두루 역임하였다. 정조 등극 후에는《명의록》 편찬을 담당하였으며, 정조의 탕평책에 옹호하였다. 문학으로 이름이 있었으며, 외유내강의 인물로서 평가된다. 저서로《칙지헌집》이

  • 유엄 / 柳儼 [역사/조선시대사]

    1692(숙종 18)∼? 조선 후기의 문신. 장운 증손, 할아버지는 관, 아버지는 정진, 어머니는 박태정의 딸이다. 1723년(경종 3)에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듬해에 정언이 되었다. 영조가 즉위하자 지평으로 등용되어 정언과 지평을 번갈아 하였다. 1728년(영조

  • 유여매쟁춘 / 柳與梅爭春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은 작자 미상의 산문. 한글필사본. 이 작품은 작자가 봄을 기다리는 심정을 표현한 것으로, 그 구성이 간결하고 재치 있다. 작자는 이른 봄의 버들과 매화가 봄을 두고 서로 시샘하는 것 같다고 하여, 버들은 양귀비로, 매화는 매비로 의인화함으로써 인정기미를

  • 유연고 / 游燕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홍석모의 시「입책후기소견연성잡시 」·「연경팔경 燕京八景」 등을 수록한 시집. 3책. 필사본. 『유연고』의 내용은 모두 시다. 1826년(순조 26)에 아버지가 정사로 연경에 갔을 때에 보고 들은 풍물을 시로 옮긴 것이다. 『유연고』의 내용은 오언고시 6수

  • 유영립 / 柳英立 [종교·철학/유학]

    1623년(인조 1)∼1686년(숙종 12).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유형, 조부는 유란. 부친 유인무와 모친 광주안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7형제가 있다. 부인은 홍문관교리 나이준의 딸이다. 1663년(현종 4) 식년시 병과 12위로 급제하였다. 태학관박사·장흥고주부

  • 유오대산기 / 遊五臺山記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김창흡(金昌翕)이 지은 기행문. 『삼연집 三淵集』 권24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강릉에 가 있을 때 오대산을 돌아보고 쓴 기행문이다. 이 글은 작자가 유명한 학자이면서 벼슬을 버리고 한가로이 지내는 처지이므로 자연을 남보다 참되게 엿볼 수 있었을 것이라는

  • 유우춘전 / 柳遇春傳 [문학/한문학]

    유득공(柳得恭)이 지은 한문단편소설. 악사 유우춘(柳遇春)의 생애를 전기화한 작품이다. 작자의 문집인 『영재집(泠齋集)』에 실려 있다. 「유우춘전」은 그 당시 천시하던 기예(技藝) 가운데 해금으로 독보하던 유우춘의 일생을 전기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서기공의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