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금학절요 / 琴學切要 [예술·체육/국악]

    고종 연간(추정) 작자 미상의 「우단조음」·「우조조음」·「초삭대엽」 등을 수록한 악보. 거문고악보. 1책. 사본. 일명『학금절요』라고 한다. 이면(裏面)에 조선왕조 연대표가 있는데, 철종까지의 즉위년과 재위년이 기록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고종 때 만들어진 것으로

  • 금행일기 / 錦行日記 [문학/고전시가]

    1845년(헌종 11)은진송씨(恩津宋氏)가 지은 규방가사(집). 1권 1책. 한글필사본. 총 72면. <금ᄒᆡᆼ일긔>와 <휵양가> 2편의 내방가사가 수록되어 있다. <금ᄒᆡᆼ일긔>는 763구, <휵양가>는 137구로 모두 3·4조, 4·4조의 정연한 음수율을 지니고

  • 금향정기 / 錦香亭記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 필사본·목판본·활자본. 이 작품은 당나라 현종대의 역사적 사실을 배경으로, 허구적 인물인 남녀 주인공이 숱한 고난을 극복하고 그들의 애정의지를 실현해 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중국소설 「금향정(錦香亭)」과 그 구성이 일치하여 번안소

  • 금헌악보 / 琴軒樂譜 [예술·체육/국악]

    조선시대 작자 미상의 「세령산」·「가락환입」·「우락장리음」 등을 수록한 악보. 장사훈(張師勛)이 소장하였다가 청주대학교 운초자료관(云初資料館)에 기증하였다. 기보법이나 수록 악곡의 내용으로 보아 20세기의 악보로 추정된다. 수록악곡 중 앞부분의 「상영산(上靈山)」·「중

  • 금형일 / 禁刑日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고신과 형벌집행을 못하는 날. 당률에는 입춘 이후 추분 이전과 종묘와 사직에 대한 제사인 대제사 및 그 치재일(致齋日), 그리고 삭망·상하현·24절기, 비가 올 때, 날이 밝기 전, 도살을 하지 않는 정월, 5월·9월의 단도일(斷屠日), 매월 1·8·1

  • 금호강 / 琴湖江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 상옥리의 가사령(佳士嶺,500m)과 기북면 성법령(省法嶺, 709m)에서 발원하여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강. 금호강은 낙동강의 지류 중 그 규모가 두 번째로 큰 강으로, 금호강의 유역면적은 2,087.9㎢, 금호강 본류 길이는 118.4㎞,

  • 금호도 / 金湖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광양시 금호동에 있었던 섬. 원래의 섬이름은 쇠섬이었는데 쇠자를 한자로 표기하여 금호도가 되었다. 섬 주변의 간석지를 매립하여 우리 나라 제2의 제철소인 광양제철소의 전진기지가 건설됨으로써 육지화 되었다. 1985년 3월에 매립공사가 끝나 원래의 섬 모습은 찾

  • 금호도 / 錦湖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에 속하였던 섬. 2007년 말 현재 금호도가 속해 있는 산이면의 전체 면적은 48.94㎢이고 농경지 27.08㎢, 임야 15.62㎢, 기타 6.24㎢로 구성되어 있다. 산이면 전체 인구는 5,594명(남 2,793명, 여 2,801명)이고 세대수

  • 금호문의거 / 金虎門義擧 [역사/근대사]

    1926년 4월 28일 송학선이 창덕궁의 금호문 앞에서 조선 총독 사이토를 암살하려다 미수에 그친 의거. 송학선은 순종의 성복제(成服祭)에 참석하기 위해 자동차를 타고 창덕궁으로 들어가던 일본인 3명 중 국수회 지부장 다카야마을 사이토로 오인하고 비수로 찔러 죽여 현장

  • 금호서원 / 琴湖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에 있는 서원. 1684년(숙종 10)에 지방유림이 허조(許稠)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하양읍 금락동에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서사동으로 이건하고, 1790년(정조 14)에 ‘금호’라는 사액을 받아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