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유상조 / 柳相祚 [종교·철학/유학]

    1763년(영조 39)∼1838년(헌종 4). 조선 후기 관리·유학자. 서애 유성룡의 8대손, 증조는 유성화, 조부는 유운이다. 부친은 유종춘, 생부 유해춘과 권정징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친동생으로 유휘조가 있다. 부인은 정광익의 딸이다. 1794년(정조 18) 춘당

  • 유생대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신해년에 이동임에 의하여 필사되었다. 남녀주인공의 결연담과 남자주인공의 영웅적 활약상을 그린 영웅소설이다. 이 작품은 주인공 유생이 혼사장애를 극복하고 국가를 위기에서 건져내는 내용을 가진 전형적인 영웅소설이다.

  • 유생전 / 劉生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한문소설. 1권 1책(68면). 필사본. 「유생전」은 ‘혼사 장애와 그 해결’이 중심 내용이 된다. 혼사 장애는 ‘황제와의 대립’, ‘달목과의 대립’으로 인해 야기된다. 작가는 혼사 장애로 인한 갈등의 정도를 작품이 진행될수록 높인 후, 죽음이라는

  • 유서석록 / 遊瑞石錄 [문학/한문학]

    조선조 선조 때에 고경명(高敬命)이 지은 무등산 기행문. 순한문으로 기술되어 있다. 원문은 그의 문집인 『제봉집(霽峰集)』에 수록되어 있다. 「유서석록」의 제목에서 ‘서석’은 광주(光州)의 옛 이름이다. 이 글은 1574년(선조 7) 초여름에 친구들과 함께 증심사(證心

  • 유서필지 / 儒胥必知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유서류(類書類) 편자미상, 목판본, 1권 1책(부록, 吏讀彙編 8장 포함, 합 56장). 목민관, 이서, 일반 백성이 다루어야 할 상언(上言) 등 7종의 공문 서식과 여기에 쓰이는 이두(吏讀) 등을 해설한 공문 지침서이다.

  • 유선사 / 遊仙詞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허난설헌(許蘭雪軒)이 지은 한시. 칠언절구, 87수의 연작시(連作詩)로 작자의 대표작이다. 이 작품은 허균(許筠)이 공주목사로 재직하던 1608년 4월에 간행한 목판본 『난설헌집』에 실려 있는데, 무려 2,436자에 이르는 선시어(仙詩語)로 묘사한 대작이다

  • 유선쌍학록 / 遊善雙鶴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7권 7책. 국문필사본. 18회로 나뉘어 있는 회장(回章)체 소설로, 가정소설의 유형을 띤 작품이다. 이 작품은 전반에는 적모가 서자를 모해하는 사건으로 구성되어 있고, 후반에는 주로 일부다처생활에서 빚어지는 쟁총담(爭寵譚)으로 구성되

  • 유성룡 / 柳成龍 [종교·철학/유학]

    1542(중종 37)∼1607(선조 40). 조선 중기의 문신. 자온의 증손, 할아버지는 공작, 아버지는 중영, 어머니는 김광수의 딸이다. 이황의 문인이다. 영의정까지 김성일과 동문수학하였다. 1566년 별시문과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권지부정자를 시작으로 영의정까지 역

  • 유성화 / 柳聖和 [종교·철학/유학]

    1668년(현종 9)∼1748년(영조 24). 조선 후기 문신. 유성룡 후손, 조부는 유의하이다. 음직으로 관직에 나아가 1730년(영조 6)에 봉렬대부 행 광흥창봉사와 주부에 임명되었다. 1731년에는 산음현감을 지냈고, 그 후 부호군에 제수되었다. 사후에 호조참판

  • 유세명 / 柳世鳴 [종교·철학/유학]

    1636(인조 14)∼1690(숙종 16). 조선 후기의 문신. 운룡의 증손, 할아버지는 기, 아버지는 원리이다. 유원지의 문인이다. 1675년(숙종 1)에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678년에는 검열을 지내고, 이어 사관·이조좌랑을 거쳐 1689년에 지평·교리·헌납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