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금주도 / 金州道 [지리/자연지리]

    고려시대 김해의 덕산역을 중심으로 한 역도. 금주도의 관할지역 범위는 김해를 중심으로 김해∼울산(蔚山), 김해∼대구(大邱), 김해-창원(昌原)-칠원(漆原)-영산(靈山)-현풍(玄風)에 이어지는 역로이다.

  • 금주령 / 禁酒令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큰 가뭄· 흉작·기근이 있을 경우 술 마시는 것을 금하는 법령. 근신 절제함으로써 하늘의 노여움을 풀고 굶주린 백성들을 위로하며 식량과 비용을 절약할 목적으로 행하여졌다. 1392년 조선개국 직후 흉작으로 인하여 금주령을 내린 것을 비롯하여 여러 대에 걸쳐

  • 금주집 / 錦洲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허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1년에 간행한 시문집. 1941년 허채의 손자 허섭(許涉)이 편집·간행하였다. 서문·발문은 없다. 권1·2에 시 241수, 권3∼9에 서(書) 353편, 권10·11에 잡저 18편, 권12에 서(序

  • 금주집 / 錦洲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고몽찬의 시·서(書)·설·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서문은 없고, 그의 아들 문겸(文謙)이 1892년(고종 29)에 쓴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시, 권3에 서(書), 권4에

  • 금진강 / 金津江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정평군 고산면에서 발원하여 동해의 함흥만으로 흘러드는 강. 이 강의 유역면적은 885.7㎢이고, 유로연장은 본류가 90.8㎞이다. 군의 북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황봉(黃峰, 1,736m)과 검산령(劍山嶺, 1,127m)에서 발원하여 고산면의 거의 중앙부를 따라

  • 금척대훈장 / 金尺大勳章 [역사/근대사]

    대한제국시대의 훈장. 1900년 4월 17일에 제정, 반포된 것으로, 훈등은 대훈 위에 속하고 무등이며 서성대훈장 위에 있어 황실에서만 패용하나, 종친 및 문무관 중 서성대훈장을 받은 자로 특별한 훈공이 있을 때 특지로 수여될 수 있다. 패용할 때 정장은 오른쪽 어깨를

  • 금척설화 [문학/구비문학]

    미천한 인물이 꿈에 ‘금으로 된 자[金尺]’를 얻음으로써 영예로운 지위에 이르게 된다는 설화. 문헌과 구전 모두 자료가 풍부한데, 문헌설화는 이성계(李成桂)의 등극을 예시한 신화적 유형이고, 구전설화는 하층 농민의 영달을 그린 민담적 유형으로 전승된다. 문헌설화는 ‘금

  • 금천구 / 衿川區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남서부에 위치한 구. 동쪽은 관악구, 서쪽은 경기도 광명시, 북쪽은 구로구, 남쪽은 경기도 안양시와 접하고 있다. 위치는 동경 126°52'~126°55', 북위 37°25'~37°27'이다. 면적은 13.02㎢이고, 인구는 23만 6284명(2015년 현재

  • 금천군 / 金川郡 [지리/인문지리]

    황해도 동남부에 위치한 군. 동쪽은 경기도와 강원도, 서쪽은 평산군, 남쪽은 연백군과 경기도 연천군·장단군·개풍군, 북쪽은 신계군과 강원도 이천군에 접하고 있다. 동경 126°14′∼126°56′, 북위 38°2′∼38°26′에 위치하며, 동서로 긴 편이다. 면적 95

  • 금천군읍지 / 金川郡邑誌 [지리/인문지리]

    황해도 금천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내용구성은 강역(疆域)·방리(坊里)·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관직(官職)·읍선생(邑先生)·성지(城池)·공해(公廨)·창고(倉庫)·누정(樓亭)·단묘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