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유록전 / 柳綠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활자본. 조선 인조 때의 문관 정몽세(鄭夢世)와 유록(柳綠)의 변화무쌍한 사랑이야기이다. 이 작품은 처음부터 끝까지 남녀 주인공의 사랑을 진지하고 사실적으로 표현하였으며, 병자호란 때의 혼란상을 잘 그려내 사건전개에 유기적인
유만주 / 兪萬柱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문신·학자. 그의 자세한 행적과 가족관계는 미상이며, 1882년(고종 19)에 진사과에 장원급제하여 그 해에 학행을 인정받아 사헌부지평에 제수되었다. 김학진·김윤식·남정철·심기택·윤수오 등과 폭넓은 교유를 하였다. 저서로는『백거시초』4권 4책
유명견 / 柳命堅 [종교·철학/유학]
1628(인조 6)∼1707(숙종 33). 조선 후기의 문신. 격 증손, 할아버지는 시행, 아버지는 영, 어머니는 이윤신의 딸이다. 1672년(현종 13)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대사간, 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1701년 장희재 등과 인현왕후를 살해하려 하였
유명천 / 柳命天 [종교·철학/유학]
1633(인조 11)∼1705(숙종 31). 조선 후기의 문신. 격 증손, 할아버지는 시행, 아버지는 영, 어머니는 이윤신의 딸이다. 관찰사 석에게 입양되었다. 1672년(현종 13) 별시문과에 갑과로 급제, 정언·지평 등을 역임하였다. 1675년(숙종 1) 이조좌랑이
유명현 / 柳命賢 [종교·철학/유학]
1643(인조 21)∼1703(인조 29). 조선 후기의 문신. 격 증손, 할아버지는 시행, 아버지는 영, 어머니는 이윤신의 딸이다. 1673년(현종 14) 진사로서 정시문과에 장원하고 1675년(숙종 1)에는 부수찬이 되었고, 사인·부제학을 거쳐, 1678년 전라도관
유명홍 / 兪命弘 [종교·철학/유학]
1655(효종 6)∼1729(영조 5). 조선 후기의 문신. 대의 증손, 할아버지는 희증, 아버지는 석, 어머니는 이계의 딸이다. 1682년(숙종 8)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대사간, 경기감사, 한성판윤, 예조판서, 우참찬 등을 역임하였다.
유몽인 / 柳夢寅 [종교·철학/유학]
1559(명종 14)∼1623(인조 1). 조선 중기의 문신·설화 문학가. 의 증손, 할아버지는 충관, 아버지는 주부, 어머니는 민의의 딸이다. 성혼과 신호에게서 수학했으나 경박하다는 책망을 받고 쫓겨나 성혼과는 사이가 좋지 못하였다. 1589년 증광 문과에 장원 급
유문성전 / 柳文星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 필사본·활자본. 이 소설의 특징은, 여자 주인공의 출생에 관한 이야기만 있고 남자 주인공의 출생에 관한 이야기가 없는 점, 결연담(結緣譚)에서 남자의 아버지가 낭자에게 옥지환을 주는 점, 명나라의 시조 주원장(朱元璋)이 우리나라 사람이
유반잡록 / 留頖雜錄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정서류(政書類) 편자미상, 필사본, 1855년(철종 6), 불분권 1책(40장). 1855년 유치명(柳致明), 권재대(權載大)와 관련된 상소들을 모아 등사한 책으로《壬子疏廳日記》와 연결된 내용이다.
유배가사 / 流配歌辭 [문학/고전시가]
귀양지를 소재로 하거나 귀양지에서 지은 가사작품. 고려시대나 당파싸움이 치열하였던 조선시대에 있어서 관료생활을 하는 정치인에게는 으레 따르기 마련이었다. 따라서, 귀양살이를 소재로 한 작품 또는 귀양지에서 지은 작품이 많이 나오게 되었는데, 유배가사는 이러한 가사작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