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유기환 / 兪箕煥 [정치·법제/외교]

    조선 후기의 문신(?∼?). 1881년(고종 18) 신사유람단으로 일본을 시찰하였다. 1898년 군부대신서리로 개화세력을 탄압하였다. 1902년 7월 조선전권대신으로 한정수호통상조약 및 부속 통상장정을 조인하였다. 그 후 김옥균(金玉均)을 암살한 홍종우(洪鍾宇)를 중

  • 유당 / 柳戇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3∼1794). 1756년 지평으로, 박세채 문묘 배향을 반대하다가 삭직당하고 이후 1780년에 이명제에게 홍국영·송덕상의 일파라는 무고를 받아 파직되었다. 1788년에 특지로 동지중추부사에 복직되고 이어 형조참판·공조참판을 역임하였다.

  • 유대원 / 柳大源 [종교·철학/유학]

    1834년(순조 34)∼1903년. 조선 말기의 학자. 아버지는 진대, 어머니는 홍현원의 딸이다. 기정진과 임헌회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당시 위정자와 집권관료층의 무능, 부패를 비판하는 한편, 스스로 나라의 기틀을 다지고 그 기틀의 초석인 유교적 전통의 수호와 확립을

  • 유대춘 / 柳帶春 [종교·철학/유학]

    1603(선조 36)∼1691(숙종 17).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언. 성혼·이이의 문인이다. 1642년(인조 20)에 문음으로 예빈시봉사에 임명되었으나 입사하지 않았다. 그는 경서에 정통하고 문장이 능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하였다고 한다. 사후에 국가에서 정문을

  • 유덕장 / 柳德章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묵죽화가(1675∼1756). 동지중추부사를 지냈다. 이정의 묵죽화풍을 이어받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정·신위와 함께 조선의 3대 묵죽화가로 이름을 날렸다. 유작으로〈설죽〉·〈설죽도〉·〈황강노절〉과 팔폭병풍 등이 있다.

  • 유덕전 / 劉德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필사본.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본이 유일본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간에 하권이라는 표지로 미루어 분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유덕과 유현, 경태의 삼대에 걸친 가족이산과 남녀이합에 무용과 출세담이 가미된 작품이다. 이 작품의 주요내용은

  • 유도원 / 柳道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21∼1791). 학행으로 명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지 않고, 1790년(정조 14) 노인직으로 첨지중추부사가 되었다. 주석학에 밝았다. 저서로《노애집》·《퇴계선생문집고증》·《일경록》 등이 있다.

  • 유동서원 / 酉洞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고천리에 있었던 서원. 1725년(영조 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유직(柳稷)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충의사(忠義祠)·상현당(尙賢堂)·신문(神門)·동재(東齋)·서재(西齋)·전사청(典祀廳)·장서각

  • 유득공 / 柳得恭 [역사/조선시대사]

    1748(영조 24)∼1807(순조 7). 조선 후기의 실학자. 1774년(영조 50) 사마시에 합격해 생원이 되고, 시문에 뛰어난 재질이 인정되어 1779년(정조 3) 규장각검서(奎章閣檢書)로 들어가 활약이 컸다. 그 뒤 제천·포천·양근 등의 군수를 거쳐 말년에는 풍

  • 유득일 / 兪得一 [종교·철학/유학]

    1650(효종 1)∼1712(숙종 38). 조선 후기의 문신. 정 증손, 할아버지는 여해, 아버지는 창, 어머니는 이척연의 딸이다. 박세채의 문인이다. 1677년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대사성, 대사헌, 이조참판, 병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