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총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북한산 / 北漢山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도봉구·강북구·종로구·은평구와 경기도 고양시·양주시·의정부시에 걸쳐 있는 산. 북한산의 높이 835.6m이고, 전체 면적 중 서울은 약 39㎢, 경기도는 약 41㎢를 점하고 있다. 북한산은 경위도상 위치는 동경 126°56′∼127°03′, 북위 37°35′
북한산국립공원 / 北漢山國立公園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도봉구, 강북구, 서대문구, 종로구, 은평구와 경기도 고양시, 양주시, 의정부시 지역에 걸쳐 있는 국립공원. 북한산국립공원의 면적은 76.922㎢이고 1983년 4월 2일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북한산(836.5m)은 서울의 진산이며 누구나 이 산을 웅장
북한해류 / 北韓海流 [지리/자연지리]
우리나라의 함경도 해안을 따라 남하하는 해류. 북한해류는 오호츠크해에서 남하하는 리만해류의 한 갈래가 함경도 해안을 따라 내려오면서 형성되는 한류이다. 해류의 흐름이 명확하며, 유속은 0.2∼0.5㏏이다. 진로는 남쪽에서 북상하는 동한해류의 안쪽을 따르는데, 두 해류는
불암산 / 佛巖山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노원구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509.7m. 원래 ‘필암산(筆巖山)’이라 하여 먹골[墨洞]·벼루말[硯村]과 함께 필(筆)·묵(墨)·현(硯)으로 지기(地氣)를 꺾는다는 풍수지명(風水地名)이었다. 불암산이라는 명칭은 큰 바위로 된 봉우리
불영사계곡일원 / 佛影寺溪谷一圓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에 있는 불영사일대의 명승지. 면적은 3,518,561㎡이며, 1979년 12월 명승 제6호로 지정되었다. 불영사계곡은 신라 의상(義湘)이 처음 세웠다는 불영사에서 근남면 행곡리에 이르는 곳인데 태백산맥의 경승지로서 깎아 세운 듯한 기암절벽 사이로
불일폭포 / 佛日瀑布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폭포. 지리산국립공원에 있는 10경(景)의 하나이며, 쌍계사 북쪽 3㎞ 지점에 펼쳐진 불일평전(佛日平田)에서 약 4㎞ 들어가 있다. 높이 60m로 전국에서 몇 번째 안가는 폭포로서 백천단애의 비폭과 오색무지개, 한여름에도 냉기를 느
비견도 / 飛見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완도군 금당면 차우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76명(남 39명, 여 37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38세대이다. 취락은 선착장이 있는 동쪽 해안 중앙부에 주로 분포한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은 없고 밭 1.17㎢, 임야 0.13㎢이다. 주
비금도 / 飛禽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에 있는 섬. 삼한시대에 떠돌아다니던 유족이 당두마을에 최초로 들어와 정착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와서는 유배되어 온 벼슬아치들이 가족을 이끌고 와 정착하면서 많은 씨족이 분포하게 되었다.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3,813명(남 1,902명,
비단섬 / 緋緞島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신도군(지금의 비단섬노동자구)의 압록강 어구에 있는 인공섬. 비단섬의 면적은 64.368㎢, 동서 길이는 5.76㎞, 남북 길이는 13.76㎞, 둘레는 49.07㎞, 높이는 89m이다. 비단섬은 주위에 있는 크고 작은 마안도(馬鞍島)·양도(洋島)·말도(末島)·
비단섬코끼리바위 / 緋緞島象巖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용천군 신도면(지금의 신도군 비단섬노동자구)에 있는 바위. 길이 47m, 높이 15m, 코둘레 9m. 황해가 서서히 침강될 때 화강암의 잔구가 함몰하지 못하고 섬으로 되었으며, 그것이 오랜기간 풍화작용에 의하여 멀리서 보면 마치 코끼리처럼 보여 코끼리섬 또는